‘습관적 야근에 상명하복 지시’…한국기업, 후진적 문화에 병들다
[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A 대기업에 재직 중인 송명선 과장(가명)은 "아직도 주먹구구식으로 일을 지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결재라인을 밟을 때마다 보고서 방향이 뒤집히는 일이 허다하다. 마치 자동차를 조립하고, 결재단계마다 조립된 차를 다시 분해하고 그걸 재조립하는 일을 반복하는 느낌"이라며 회사 생활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국내 기업에서 임원으로 재직했던 외국인 매튜(가명) 씨 "한국기업의 임원실은 마치 엄숙한 장례식장 같다"고 회상했다. 그는 "임원 앞에서 정자세로 서서 불명확하고 불합리한 리더의 업무지시에 Why도, No도 하지 못하고 고개만 끄덕이는 것을 보고 이해할 수 없는 한국기업의 업무방식이 쉽게 개선되지 않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상명하복식 업무지시와 비합리적인 평가시스템, 상습적인 야근 등 우리나라의 구시대적인 기업문화로 인해 기업 조직건강도에 적신호가 켜졌다. 15일 대한상공회의소와 맥킨지가 지난해 6월부터 9개월간 국내기업 100개사, 임직원 4만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기업의 조직건강도와 기업문화 종합보고서'에 따르면, 조직건강도 검진결과 우리나라 기업의 조직건강은 글로벌기업에 견줘 약체로 나타났다. 특히 중견기업 대다수가 글로벌기업에 비해 절대 약세인 것으로 드러났다. 조직건강도 진단은 맥킨지 조직건강도(OHI) 분석기법을 활용했다. 리더십, 업무시스템, 혁신분위기, 책임소재 등 조직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사항을 평가·점수화해 글로벌 1800개사와 비교했다. 조사대상 100개사 중 글로벌기업보다 약체인 기업은 최하위수준을 기록한 52개사를 포함해 모두 77개사였다. 중견기업은 91.3%가 하위수준으로 평가돼 조직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반면 상위수준으로 진단을 받은 기업은 최상위 수준의 10개사를 포함한 23개사에 그쳤다. 세부영역별 진단결과를 보면 ▲리더십 ▲조율과 통제(시스템) ▲역량 ▲외부 지향성 등 4개 영역이 취약한 반면, ▲책임소재 ▲동기부여 등 2개 항목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직건강을 바라보는 경영진과 직원간 시각차도 뚜렷했다. 경영진은 자사의 조직건강을 최상위 수준(71점)으로 평가한 반면, 직원들은 최하위 수준(53점)으로 진단하며 상반된 인식을 보였다. 세부항목별로는 ▲리더십 ▲문화 및 분위기 ▲방향성 항목에서 큰 격차를 나타냈다. 지속적인 성과창출을 가능케 하는 차별적인 조직운영 모델을 뜻하는 '지속성장 DNA' 확보 여부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지속성장 DNA를 갖고 있는 국내기업은 50%로 글로벌기업 66%보다 낮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50개사를 대상으로 지속성장 DNA 유형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 기업이(대기업 100%, 중견기업 97%) '실행중심형(전사적 개선·혁신활동)' DNA를 갖고 있었다. 반면 글로벌 기업은 '실행중심'(64%), '시장중심'(23%), '리더십중심'(7%), '지식중심'(6%) 등 유형이 다양했다. 최원식 맥킨지 서울사무소 대표는 "한국 기업은 아직도 제조혁신 역량을 중시하고, 선도기업 따라잡기를 도전목표로 설정해 빠른 실행을 하는 기존 성공방정식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실행중심형만으로는 급변하는 시장패러다임에 부응해 능동적인 변신과 다양한 사업기회 포착이 힘들다"고 지적했다. 또 직장인 4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기업문화 실태 진단'에서 직장인들은 '습관화된 야근'이 가장 심각한 기업문화로 꼽았다. 야근, 회의, 보고 등 한국 고유의 기업문화에 대한 호감여부를 조사한 결과, '습관적 야근'이 31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야근의 단초를 제공하는 ▲비효율적 회의(39점) ▲과도한 보고(41점) ▲소통없는 일방적 업무지시(55점)도 낮은 점수를 받았다. 저출산·고령화 극복의 핵심과제로 여성근로 활용제고가 부각되고 있지만, 직장인들은 '여전히 여성이 평가·승진 등에서 불리하다'(49점)고 응답했다. 규범준수와 상생협력 수준은 모두 61점으로 여타 항목에 비해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한동안 심각한 구태문화로 지적 받던 회식문화는 크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잦은 회식이 업무나 개인생활에 지장을 주는지를 묻자 직장인의 76.7%가 '그렇지 않다'라고 답했고, 실제 회식 횟수도 주 평균 0.45회로 집계됐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은 "한국기업의 조직엔진이 매우 낡고 비과학적이며, 글로벌기업 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지속성장의 DNA 형성, 구성원의 조직몰입, 그리고 사회적 신뢰 확보를 위해 피처폰급 기업운영 소프트웨어를 최신 스마트폰급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