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3대 장벽 자금/기술/판로, 대기업과 협력으로 극복했다
[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해외진출 관심이 많았던 중소시계 제조사 A는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의 지원으로 홍보영상을 제작한 뒤 국내 대형 홈쇼핑업체 B사를 통해 성공적으로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했다. A사는 B사의 현지방송이 시작된 지 2일만에 계획한 수출물량을 모두 판매하는 성과를 거뒀고, 동일한 방법으로 베트남에도 진출해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8억원이 넘는 매출을 달성했다. 이처럼 대·중소기업간 협력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다.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생태계간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간 협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대·중소기업 협력 현황과 개선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전통적으로 애로를 겪는 자금, 기술, 판로 등 3대 부문에서 대기업과의 협력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 부문을 보면 하도급거래에서 원사업자가 납품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이 지난 2012년 47.6%에서 2013년 47.8%, 2014년 51.7%로 증가해 수급업자의 자금 확보 부담이 낮아졌다. 또한 부실어음으로 인한 연쇄부도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지난 2005년부터 도입된 전자어음은 2014년 발행건수가 187만여건으로 종이어음의 지급제시건수 107만여건을 앞질러 기업간 거래안정성도 높아졌다. 대·중소기업의 기술협력도 늘어나고 있다. 중소제조업체가 대기업과 기술 협력에 나서는 비율이 지난 2012년 16.1%, 2013년 16.2%, 2014년 23.0%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중소기업의 판로난 해소에 대기업과의 협력이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소기업 해외동반진출 규모는 수출계약금액 기준으로 2012년 2100만 달러에서 2014년 1억8100만 달러로 2년 새 9배 가까이 증가했다. 보고서는 최근 대·중소기업간 협력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기업간 협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를 꼽았다. 실제로 대기업들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협력사의 경쟁력 제고가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사내 동반성장 전담조직 설치, 협력사 지원 확대, 협력사와의 소통강화 등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기업간 협력을 심화·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먼저 납품대금의 현금성결제에 대한 세액공제 대상 확대를 제안했다. 기업구매자금대출,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등 현금성결제는 현금과 유사하면서 어음제도의 단점을 보완한 지급결제 수단으로서 기업들의 활용비율이 계속 늘어났으나, 지난 2013년 말 세제지원 일몰 등의 영향으로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올해부터 현금성결제 금액의 0.1~0.2%를 세액공제해 주는 제도가 부활되기는 했지만 제도가 더욱 활성화되려면 현재 중소기업간 거래로 한정돼 있는 적용대상을 중견기업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기업간 기술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술이전·취득·대여 등에 대한 세제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기술이전에 대해서는 중소중견기업에만, 기술취득 및 기술대여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에 한정해 지원하고 있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지난 10년간 정부가 추진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정책과 기업의 자발적 노력의 결실로 기업간 협력분위기가 성숙되어가고 있어 고무적"이라면서도 "시장에 대·중소기업 파트너십이 확고하게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현금성결제 세액공제 대상 확대, 기술협력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 대·중소기업 해외시장 동반진출 지원 확대 등 그동안 추진해온 제도를 지속 보완하고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