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 “학생이 행복한 교육, 인천에서 실현 할 것”
'학생성공시대', '결대로 교육', '한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 '읽걷쓰 프로젝트' 등 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이 제시한 교육 철학이 교육계 전반에 깊은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새 학년을 맞아 인천광역시교육청이 추진하는 교육 정책과 성과, 그리고 미래 비전에 대한 관심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학생성공시대'를 교육의 중심 가치로 삼고 다양한 정책을 실현해온 도성훈 교육감을 만나 신학기 교육 방향과 비전을 들어봤다. ■ 학생 성공시대, 행복한 교육을 위한 길 "성공은 경쟁이 아니라 자신을 찾는 것" 인천시교육청의 교육 비전인 '학생 성공시대'는 단순히 좋은 대학에 진학하거나 높은 성적을 받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성훈 교육감은 "성공은 남과의 경쟁을 통해 얻는 부와 명예가 아니라, 학생들이 저마다 좋아하고 잘하는 것을 찾아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인천교육청이 말하는 '학생 성공시대'는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길을 찾아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시대를 의미한다. 이 같은 철학을 바탕으로 도 교육감은 '결대로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학생 개개인이 타고난 성향과 관심사를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대중예술고 ▲글로벌셰프고 ▲바이오과학고 ▲소방고 ▲글로벌스타트업학교 ▲반도체고를 설립했다. 여기에 더해 2026년 설립을 목표로 ▲대중예술중 ▲예술중 ▲체육중 개교를 준비 중이다. 특히 고교학점제 도입에 맞춰 학생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공동교육과정(꿈두레 교육과정)과 학교 밖 연계 교육과정(꿈이음대학)을 운영하고 있으며 온라인으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는 온라인학교도 마련했다. ■ 공약 이행률 86%, 교육 변화를 선도하다 "공약은 학생 한 명 한 명과의 약속" 도 교육감은 교육감 재선 기간 동안 110개의 공약을 추진하며, 현재까지 공약 이행률이 86%에 달하는 성과를 거뒀다. 그는 "공약 이행의 핵심은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돕는 것"이라며 "공약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학생들의 성공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의식을 잃은 행인을 구한 학생들의 사례에서 보듯 인성교육이 강화됐으며 ▲부산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에서 인천 학생들이 우수한 성과를 거두는 등 진로 교육에서도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국제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UN고위급 정치포럼에 참여하는 등 학생들의 세계시민 교육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공약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원칙은 공약은 단순한 목표 달성이 아니라 실질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읽걷쓰 프로젝트, 인천의 교육 문화를 바꾸다 "질문하고 상상하는 교육도시 인천" 인천시교육청이 추진한 '읽걷쓰(읽고, 걷고, 쓰다)' 프로젝트는 시행 2년 만에 시민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다. 현재까지 7만 5,410명의 학생이 책을 저술했으며, 4,625권의 책이 출간됐다. 특히 지난해 학교도서관 대출 권수가 전년 대비 3.3% 증가했고, 공공도서관 대출도 9.9% 늘어나며 인천 시민의 독서 문화가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도 교육감은 "읽걷쓰를 통해 인천을 질문하고 상상하는 품격 있는 교육도시로 성장시키겠다"며 "앞으로 읽걷쓰 기반의 관찰, 질문, 탐구, 행동 중심의 교육을 전국화·세계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학생 맞춤형 지원, 교육격차 해소에 집중 "한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 인천시교육청은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만 5세 유치원부터 고교까지 무상교육을 전국 최초로 실현했으며, 코로나19 기간 동안 모든 초4~고3 학생에게 노트북을 보급했다. 또한 원도심과 신도심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매년 48억 원을 투입해 학력 향상, 진로 교육, 예술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장애 학생 지원에도 힘쓰고 있다. 대학과 연계한 '대학형 전공과 교육'을 전국 최초로 도입해 장애 학생들의 실무 역량을 키우도록 했으며, 특수교육 여건 개선을 위해 올해 134개 특수학급을 신·증설하고, 141개 학교에 148명의 특수교사를 추가 배치할 예정이다. 도 교육감은 "모든 학생이 공정한 교육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교권 보호와 교육환경 개선에도 주력 "교권과 학생 인권, 함께 존중받아야" 최근 교권 침해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인천시교육청은 '교육활동보호담당관'을 신설해 법률·상담·치유 지원을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있다. 또한 악성 민원 처리를 위해 민원기동대를 운영하는 등 교사들이 안정적으로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도 교육감은 "교권과 학생 인권은 대립하는 개념이 아니다"라며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학교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미래 교육 방향, "삶을 배움으로, 학교를 삶으로" "인천, 교육 때문에 찾아오는 도시로 만들겠다" 도 교육감은 미래 교육의 핵심 방향을 '학교를 삶으로, 일상을 배움으로'라고 정의했다. 그는 "앞으로의 시대는 인간과 AI가 공존하고 협력해야 하는 시대"라며 "지식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문제 해결력과 창의성을 키우는 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학생 맞춤형 교육 확대 ▲인천만의 특색 있는 교육 콘텐츠 개발 ▲국제 교류 확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와 저출생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인천을 '떠나는 도시'에서 '찾아오는 도시'로 변화시켜 교육격차 해소, 맞춤형 진로교육, 특색 있는 교육정책 등이 인천의 교육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앞으로도 더 촘촘한 교육복지 안전망을 구축하고 공교육의 질을 높여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도 교육감은 "앞으로도 인천만의 특화된 교육, 경쟁력 있는 교육을 통해 더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길을 찾고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인천이 질문하고 상상하는 품격 있는 교육도시로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함께 해 주시기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