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글로벌 SMR 속도전 본격화…韓, 상업화 타임라인 확보 시급

美·中 SMR 상용화 시계 앞당기는데…韓, 실증 지연에 ‘타이밍 리스크'
정책 불확실성에 묶인 韓 SMR…“실증 지연 시 경쟁력 확보 어려워”

SMR(소형모듈 원전) 내외부 모습

한국이 2030년대 상업화를 목표로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을 추진하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은 실증 및 가동 일정을 앞당기며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서면서 글로벌 SMR 사업화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제도적 지원을 바탕으로 2029년 상용화를 목표로 SMR 실증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신규 원전 건설 심사를 18개월 내, 기존 원전 가동연장 승인을 12개월 내 처리하도록 하는 행정명령을 시행했으며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용량을 현재의 약 4배인 400GW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뉴스케일파워(NuScale), 테라파워(TerraPower), X-energy 등 민간 개발사에도 연방 정부가 대규모 예산을 투입하며 산업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은 국영기업 주도로 하이난성 창장(昌江)에서 다기능 모듈형 소형 가압수형 원자로 '링룽 1호'의 저온 기능시험을 마치고 시운전에 돌입했다. 단계별 가동 절차를 거쳐 2026년 말 상업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단일 인허가 체계와 집중 투자를 바탕으로 조기 상업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이처럼 미국과 중국이 실증·상용화 단계에 돌입하며 속도전을 벌이고 있는 반면 한국은 아직 준비 단계에 머물러 있어 시장 진입 타이밍이 뒤로 밀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국은 2035년 상업화를 목표로 추진 중이지만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실증 일정이 확정되지 못하고 있어 사업 추진 동력에 제약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증 착수 시기가 더 늦어질 경우 경쟁국 대비 상업화 추진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글로벌 전력 시장에서 SMR의 상업적 확장성이 높다는 평가가 확산되면서 각국의 실증 속도전은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SMR은 모듈형 양산 방식을 통해 건설 기간과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전력 수요 변화에 따라 용량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된다. 특히 인공지능(AI) 연산 시설과 데이터센터 등 고집적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소형·중형 전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아이디테크엑스는 SMR 시장이 2033년 724억 달러(약 101조원)에서 2043년 2950억 달러(약 411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정치적·제도적 안정성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정책 방향이 정권 변화에 따라 흔들리면 장기 일정이 불확실해지고 핵심 인력과 자금이 이탈할 수밖에 없다"며 "연구비와 일정의 일관된 보장이 기술 경쟁력 유지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