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우리 매장은 어떡해?' 캄보디아 사태에 동남아 진출한 유통업계 초긴장

'마스터 프랜차이즈' 덕에 피해는 없어... 신규 진출은 재검토
전문가 "현지 업체와 차별화가 관건", 동남아 확장에 경고등

캄보디아에 진출해 있는 이마트24 외관/이마트24
이마트24 캄보디아 1호점의 내부, 프놈펜에 위치해 있다/이마트24
캄보디아에서 범죄에 가담했다가 구금된 한국인 64명이 이달 18일 인천국제공항으로 귀국한 모습/뉴시스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대상 범죄가 급증하면서 동남아시아를 기회의 땅으로 여기던 국내 유통업계의 현지 확장 전략에 적신호가 켜졌다. 당장 현지에 진출한 기업들은 '마스터 프랜차이즈' 형태로 운영돼 직접적인 피해는 제한적이지만, 치안 불안이 장기화될 경우 신규 진출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여기에 동남아 시장에 진출한 K-유통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전문가의 지적까지 더해지면서 현지화와 차별화 등 근본적인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캄보디아에 진출한 기업들은 긴장감 속에 현지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발생할 수 있는 피해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최근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한국인 대상 납치, 감금 범죄가 문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현지 범죄 단체에 붙잡히는 사람이 매년 늘어나는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실이 법무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13명에 그쳤던 캄보디아 출국자와 한국 입국자 수 차이는 2022년 3209명, 2023년 2622명, 2024년 3248명으로 폭증했다.

 

현재 캄보디아에는 이마트24 점포 7곳을 비롯해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BBQ치킨, 롯데리아가 진출해 운영 중이다. 다만 현지에 진출한 기업들은 '마스터 프랜차이즈'로 진출한 만큼 현재까지 실질적인 영향은 없는 상황이다. 마스터 프랜차이즈는 본사가 특정 지역 또는 국가의 가맹 사업 권한을 현지 업체에 부여하는 사업 형태다.

 

이마트24 관계자는 " 현지인을 상대로 영업하고 있기에 매출에 영향은 없고 현지에 파견나간 직원 1명도 피해상황이 보고된 바 없다"며 "상황을 계속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범죄조직 중 일부는 국경 인근에 위치한 미얀마, 라오스 등 동남아 국가까지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다. 현재 라오스엔 이마트 노브랜드가 2호점을 냈다. 다만 이마트 노브랜드 역시 마스터 프랜차이즈로 라오스에 진출한 상황이다.

 

유통업계에선 캄보디아 사태로 우리 기업이 직접적으로 입는 피해 자체는 적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베트남, 인도네시아와 다르게 캄보디아에 진출한 기업이 많지 않아 크게 영향을 받진 않는다"면서도 "다만 치안 등 불안 문제로 인해 신규 진출을 꺼리는 기업이 있을 수 있다. 진출을 고려하던 유통업계 기업 중 계획을 재검토하는 곳이 있다는 이야기가 들린다"고 말했다.

 

동남아 전반에 대한 여행 불안 심리로 번지면서 관광객 감소로 인한 매출 타격 가능성도 제기된다. 유통업계는 한한령 이후 동남아를 새로운 교두보로 삼아 공략을 가속화해왔다. 하지만 K-유통의 성과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이번 사건이 겹치며 타격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캄보디아 사태를 계기로, 동남아 시장 전략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국내 유통기업들이 "동남아 시장에서 성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사례는 별로 없다"며 "과거 중국 시장처럼 현지 로컬 업체가 빠르게 추격해오면서 진출 기업들의 성과가 줄어들고 있다"고 부진의 원인을 꼽았다.

 

이 교수는 이어 "동남아 현지 로컬 업체와 다른 국내 기업 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여주느냐가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라며 "단순한 진출을 넘어 현지화와 차별화 전략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