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한은 "주식시장에 자국만의 K-기후 벤치마크 도입해야"

K PAB, CTB 수익률 관련 그래프 / 한국은행

대출과 채권시장 처럼 국내 주식시장에도 '한국형 기후 벤치마크 지수(K-PAB·CTB)' 도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시뮬레이션 결과 해당 지수를 도입하면 코스피보다 탄소집약도는 낮고 누적수익률은 더 안정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28일 'BoK 이슈노트 : 주식시장을 통한 녹색전환 촉진 방안-한국형 기후 벤처마크지수 도입 타당성 검토'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보고서는 박상훈 한은 지속가능성장실 지속가능성장기획팀 과장과 류기봉 조사역이 공동 작성했다.

 

연구 배경으로 한은 연구진은 유럽의 'EU 기후 벤치마크 제도(EU PAB·CTB)' 도입에 주목했다.

 

한은 연구진은 "유럽은 투자자들이 녹색투자의 기후 성과를 정략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후 벤치마크 제도를 도입해 저탄소 자본시장 조성을 도모하고 있다"고 말했다.

 

EU PAB·CTB는 유럽연합이 저탄소 경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도입한 지수 체계다. 현재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이를 반영한 지수와 더불어 추종 펀드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지난 6월 말 기준 출시된 추종 펀드 금액은 1559억 달러 규모다.

 

EU PAB·CTB 요건을 적용해 산출한 K-PAB·CTB는 코스피와 비슷한 수익률을 보이면서도 기후 리스크를 크게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즉, 국내 기후 벤치마크 지수는 코스피보다 탄소 배출 강도가 낮음과 동시에 수익률은 코스피를 소폭 상회한다는 결과다. 이 과정에서 코스피 대비 친환경 기업과 산업의 투자 비중이 확대됐다.

 

다만, 연구진은 EU 요건에 부합하는 기후 데이터 부족 및 저탄소 투자수요 제한 등이 제도 도입의 제약 요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 연구진은 보고서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기후 데이터 확충, 정부의 실효성 높은 기후정책과 기관투자자의 저탄소 투자 확대 등이 K-PAB·CTB 관련 시장 조성에 핵심적 역할 수행할 것"이라며 특히 "국내 기후공시 도입, 정부의 기후금융 육성, 장기 기관투자자의 탈탄소화 계획 수립 및 저탄소 투자 확대 등이 K-PAB·CTB의 활용도 제고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