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홈플러스 연내 15개 점포 폐점, 운영비 절감차 영업시간도 단축해

서울 시내 홈플러스 사진/뉴시스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자금난으로 점포 정리 속도를 높인다. 임대료 조정 협상이 결렬된 15개 점포를 애초 계획보다 앞당겨 모두 연내 폐점하고, 일부 점포의 영업시간도 단축하는 등 자구책에 들어갔다.

 

홈플러스는 3일 직원협의체와 노조에 공지를 통해 "임대료 협상이 무산된 15개 점포 중 5개 점포를 오는 11월 16일 폐점하고, 나머지 10개 점포는 12월 중 영업을 종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10개 점포를 내년 5월까지 차례대로 정리하려던 계획을 5개월 이상 앞당긴 것이다.

 

11월에 먼저 문을 닫는 곳은 수원 원천점, 대구 동촌점, 부산 장림점, 부산 북구점, 인천 계산점 5곳이다. 이어 12월에는 서울 시흥점, 서울 가양점, 경기 일산점, 경기 안산고잔점, 경기 화성동탄점, 천안 신방점, 대전 문화점, 전주 완산점, 부산 감만점, 울산 남구점 10개 점포가 폐점 순서를 밟는다.

 

홈플러스가 폐점 시기를 앞당긴 것은 유동성 위기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홈플러스 측은 "주요 거래처들이 보증금 선지급을 요구하고 정산 기간을 단축하는 등 거래 조건을 강화하면서, 회생 절차 이전에는 없던 1000억 원 이상의 추가 자금이 필요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금 수요가 큰 추석 명절을 앞두고 임대료 협상이 완료된 점포에 밀린 임대료를 지급하면서 자금 압박이 더욱 가중돼 현금 흐름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폐점이 결정된 15개 점포에서 발생하는 연간 영업손실은 800억 원에 달하며, 이 중 임대료가 700억 원을 차지해 성공적인 기업회생을 위해 폐점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홈플러스는 운영비 절감을 위해 밤 11시나 자정까지 운영하던 68개 점포의 영업시간을 오후 10시로 일괄 단축하기로 했다.

 

한편,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는 3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주도의 인수·합병(M&A)을 촉구했다. 노조 측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 주도의 M&A가 사실상 실패했다"며 "회생 절차가 청산으로 전환될 경우 대규모 실직과 지역 경제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