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올해 K-신약 기술수출 180% 늘어..새로운 글로벌 허브로 급부상

글로벌 빅파마(대형 제약회사)들이 K신약에 주목하고 있다. 올해 국내 의약품의 글로벌 기술수출 금액은 전년 대비 18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이 중국에 이어 혁신 신약의 새로운 목적지로 급부상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9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글로벌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를 인용해 올해 상반기 한국 의약품 라이선스 계약의 거래 가치는 76억8000만 달러(약 10조6650억원)에 달한다고 집계했다. 전년 대비 113% 증가한 규모다. 특히 한국 의약품이 글로벌 대형 제약사로 기술 수출된 금액은 전년 대비 51억 달러 늘며 약 18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K-신약 기술수출은 일라이 릴리와 GSK 등 글로벌 빅파마에 의해 수십억 달러 규모로 이루어졌다.

 

일라이 릴리는 지난 2월 한국 올릭스의 대사 관련 지방간염(MASH) 신약 후보 물질을 6억3000만 달러(약 875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으며, 이어 5월에는 알지노믹스의 RNA 기반 유전자 치료제를 13억 달러(약 1조8000억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GSK는 4월에 ABL바이오의 혈액-뇌 장벽(BBB) 셔틀 플랫폼을 28억 달러(약 3조8900억원)에 기술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한국이 아시아 시장에서 중국에 이어 혁신 신약과 첨단 의약품의 새로운 글로벌 허브가 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데이터의 수석 애널리스트인 오펠리아 찬(Ophelia Chan)은 "한때 제네릭 의약품 생산으로 인정받았던 한국은 이제 정부 지원과 국제 투자 증가에 힘입어 새롭고 혁신적인 신약 발견 및 첨단 의약품 기술의 글로벌 허브로 전환하고 있다"며 "한국이 서구와 아시아 시장 사이의 전략적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글로벌데이터는 이어 "한국은 2025년 1월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설립하며, 2035년까지 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5대 강국을 실현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미션의 일부는 신약 및 첨단 바이오의약품 기술 개발에 대한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라 언급하며 "한국은 유망한 파이프라인 약물 후보가 빠르게 성장하는 목적지로 중국과 합류했다"고 진단했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생물보안법' 추진은 한국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의약품 수입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있으며, 특정 중국 바이오기업을 견제하기 위한 생물보안법도 추진해 이들과의 계약 금지도 추진하고 있다. 라이선스 계약과 의약품 수입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기술을 이전하는 것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주장해 왔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인 베인앤컴퍼니(Bain&Company)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중 지정학적 긴장이 중국의 성장을 둔화시키지는 않았지만,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글로벌 제약사들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에서 다각화를 하게 되면서 중국 이외의 기업들에게도 기회가 창출되고 있다"며 "특히, 싱가포르와 한국과 같은 중국 이외의 아시아 국가들이 투자 다각화에 대한 글로벌 플레이어의 관심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