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2분기 희비 갈린 면세업계, 하반기 '유커 마케팅'으로 반등 노린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으로 입국하는 모습/뉴시스

상반기 부진했던 면세점 업계가 하반기 중국인 관광객을 앞세워 반등에 나선다. 정부가 다음 달 29일부터 중국인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면서 '유커(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귀환'이라는 회복 기회를 맞은 것이다. 업계는 오는 10월 중국 국경절을 겨냥, 여행사와 손을 잡거나 계열사를 총동원하는 등 유커 마케팅에 총력을 펼치고 있다.

 

◆롯데·현대 웃고 신라·신세계 울었다

 

17일 업게에 따르면 면세점 빅4의 2분기 실적은 희비가 엇갈렸다.

 

롯데면세점은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9.3% 감소하며 6685억원을 기록했지만 올해 2분기 영업이익 65억원을 기록하며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 1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하며 상반기 누적 영업이익 218억원을 달성했다. 올해 초 '따이궁(대량으로 면세 물건을 구매하는 중국인 보따리상)'과 거래를 중단하며 수수료 부담을 던 것이 컸다.

 

현대면세점은 2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2% 증가하며 2935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손실 규모도 13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6억원 줄어들었다.

 

반면 신라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은 임대료 부담으로 매출은 상승했지만 영업이익은 하락했다. 신라면세점은 2분기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이 2.1% 늘어나며 8502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손실 113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신세계면세점도 매출이 22.9% 증가하며 6051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손실 15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7월부터 여객 1인당 단가로 전환된 인천공항 내 면세점 임대료가 타격으로 돌아오면서다. 업계에 따르면 인천공항 내 입점한 신라·신세계 면세점은 매달 50억원 이상 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비자 입국 유커 잡아라

 

면세업계는 정부가 중국 국경절(10월 1일) 연휴 기간에 맞춰 시행하는 '중국인 무비자 입국' 정책에 겨냥해 중국인 마케팅 정책을 펼치고 있다. 따이궁의 빈 자리를 채울 유커를 유치하기 위한 각 사 움직임이 분주하다.

 

롯데면세점은 주요 여행사와 손잡고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전망대 등 계열사 인프라를 활용한 단독 여행 상품을 개발 중이다. 위쳇페이, 알리페이 등 간편결제 업체와 협력해 제휴 특별 혜택을 제공하는가 하면 대만 고객을 위한 '라인페이 대만'도 도입했다.

 

신라면세점은 중국 현지 사무소와 연결해 MICE(기업회의·포상관광) 등 고부가가치 단체를 집중적으로 유치하고 B1A4 진영 등 한류 스타를 모델로 내세워 중화권 고객을 공략한다.

 

신세계면세점은 항공·호텔과 제휴를 맺고 BTS(방탄소년단) 굿즈 매장, K-뷰티 라인업 등 독점 콘텐츠를 내세워 관광객 유치에 나섰다. 현대면세점은 알리페이 등 간편결제 서비스를 확대했다.

 

다만, 과거만큼 유커의 면세점 구매력이 크지 않을 거란 전망도 나온다. 최근 중국인 관광객들은 전통적인 면세점 대신 국내에 특색 있는 길거리 직영점 쇼핑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지난해 신라·신세계면세점 화장품·향수 매출은 2019년과 비교해 53% 수준으로 감소했다. 올리브영 등 면세점을 대체할 가게로 소비 패턴이 바뀌면서 나타난 변화다. 패션·액세서리 및 명품 부티크 등 품목이 2019년 수준 매출로 회복한 것과 정반대다.

 

한 면세점 관계자는 "공항에서 구매하지 않고 시내 매장에서 직접 구매하는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올해 객단가(1인당 평균 구매액)가 2019년 대비 40% 낮아졌다"고 말했다.

 

면세업계의 매출 회복하기 위해선 과도한 경쟁을 줄이고, 면세점의 상품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삼일회계법인은 보고서를 통해 "따이공 유치를 위한 치킨게임으로 번질 경우 과도한 송객수수료 지급으로 업계 전반의 수익성 저하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고 지적하며 "이제는K-콘텐츠, K-컬쳐, K-푸드 등 외국인에게 매력적인 상품들을 선보여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