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 부진으로 영업이익 55% 급감
LG전자, TV 부문 적자 영향… 2분기 실적 감소
HD현대, 조선과 방산 부문 실적 상승 이끌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역대 최대 영업이익 기록
이차전지 기업, IRA 혜택으로 영업이익 급증
미국 관세 불확실성과 내수 부진 등의 여파 속에서 주요 대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업종별로 뚜렷하게 갈리는 양상이다. 방산과 조선 업종은 호실적을 기록한 반면, 전자 업종 등은 부진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74조5663억원, 영업이익 4조676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0.67%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55.23% 하락했다. 반도체 부문 부진이 실적 감소를 이끌었으며,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영업이익은 4000억원으로 시장 전망치 1조원을 크게 밑돌았다.
LG전자는 2분기 매출 20조7352억원, 영업이익 639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4.4%와 46.6% 감소했다. 사업부별로 보면, 생활가전(HS사업본부), 전장(HS사업본부), 냉난방공조(ES사업본부) 부문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지만, TV 사업 부문에서 적자를 기록하면서 전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삼성전기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 7846억원, 영업이익 2130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 1% 증가했다. 전 분기 대비로는 매출 2%, 영업이익 16% 늘었다. 3분기는 국내외 거래선의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효과로 IT용 부품 및 AI 서버·네트워크,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등 산업·전장용 제품의 견조한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HD현대는 2분기 매출 17조2111억원, 영업이익 1조138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소폭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29.4% 증가했다. 이는 조선 부문에서 수익성 확대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고, 방산 부문도 수출 증가와 신규 수주 확보로 성장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2.3% 증가한 7조4284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153.3% 증가한 9536억원을 달성하며 HD현대 실적에 큰 기여를 했다.
포스코홀딩스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7조5560억원, 영업이익 6070억원, 순이익 840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0.68%, 영업이익은 6.87% 증가하며 실적이 개선됐다. 국내외 철강수요 부진과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 등 경제적 불확실성 고조 및 경영환경 악화 속에서도 철강사업은 국내 및 해외 철강사업 모두 판매량 확대로 매출액이 증가했다. 특히 포스코의 경우 별도기준 영업이익률이 5.7%를 기록해 2023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분기실적을 기록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상 방산 부문 실적 호조와 한화오션의 안정적인 실적에 힘입어 급성장을 보였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분기 매출 6조2735억원, 영업이익 8644억원을 기록하며 매출은 전년 대비 168.7%, 영업이익은 156.3% 증가했다. 이는 2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영업이익과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한 것이다.
이차전지업종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2분기 매출 5조5654억원, 영업이익 4922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9.7%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152% 증가했다. IRA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금액이 주요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제외한 영업이익은 14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SK온은 2분기 매출 2조1077억원, 영업손실 664억원을 기록했다. 북미 배터리 출하량 증가에도 여전히 적자를 기록했으나, 통합 법인으로는 첫 분기 흑자 609억원을 달성했다.
반면 삼성SDI는 2025년 2분기에 매출 3조 1794억원, 영업손실 3978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ESS(에너지저장장치) 및 BBU(배터리백업유닛)용 매출이 증가했으나 주요 고객의 전기차 수요 둔화 영향으로 전분기 수준의 매출을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미국 관세로 인한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하반기에는 한국 기업들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유안타증권 이안나 연구원은 "반도체와 조선업, 이차전지 분야에서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향후 한국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투자와 현지화 전략이 중요한 시점이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