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기동향

트럼프 인하 요구에도 연준 금리 4.5% 동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금리 동결을 결정한 뒤 기자회견장에서 설명하는 모습/뉴시스·AP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기준금리를 기존과 같은 4.25~4.5%로 유지키로 했다. 그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해임 가능성까지 거론하며 강하게 금리인하를 압박해 왔음에도 금리를 내리지 않은 것이다.

 

연준은 지난 29~30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기준금리를 4.25~4.5%로 동결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이후 다섯번째 금리 동결이다.

 

이날 파월 의장은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물가는 2% 목표보다는 높은 수준이지만 기대인플레이션은 여전히 잘 안착돼 있다고 강조했다.

 

연준이 주요 인플레이션 지표로 보고 있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는 지난 4월 2.1%를 기록했지만, 5월 2.3%로 상승했다. 다만 앞으로 1년 뒤 소비자가 예상하는 물가인 기대인플레이션은 3.2%에서 3.0%로 하락했다. 아직은 경제가 견조하다는 설명이다.

 

그럼에도 파월 의장은 관세정책의 영향을 파악하기까지는 금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관세정책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일회성 이벤트로 단기적으로 그칠 것을 베이스 시나리오로 생각하고 있지만, 보다 장기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소비자에게 충분히 전가되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할 때 다소 제약적인 통화정책이 적절하다"고 했다.

 

미국 기준금리 추이

다만, 관세정책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금리를 동결하는 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이견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연준회의에 참석한 11명의 연준 이사 가운데 9명은 금리동결을 지지했지만 2명은 금리인하를 지지했기 때문이다. FOMC 이사 중 2명이 반대표를 던지는 것은 1993년 이후 처음이다.

 

금리동결에 반대한 미셸 보우먼과 크리스토퍼 월러다.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이사들이다. 이들은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통제되고 있고 고금리가 유지될 경우 고용 시장이 곧 약화될 수 있다"며 금리 인하를 지지했다.

 

시장에서는 취업자수 증가보다 실업률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야 금리인하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BNP파리바는 "파월 의장은 현재 통화정책이 경제를 과도하게 제약하고 있지 않다고 평가했다"며 "이는 노동시장에서 취업자수 증가보다는 실업률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야 금리인하가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DB도 "9월 인하를 위해서는 실업률 등 고용지표의 추가적인 악화가 필요하다"며 "파월이 고용증가가 둔화되고 있지만, 노동공급과 함께 축소되고 있다고 언급한 점을 볼 때 연준이 단지 고용자수 증가폭에 과도하게 반응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했다.

 

금리인하는 내년 초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모건스탠리(MS)는 "파월 의장은 관세의 영향이 인플레이션에 충분히 반영될 때까지 정책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며 "연준이 올해 금리를 동결하고, 관세 영향으로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2026년 초 이후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