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울진군, 치유의 길 따라 ‘1,000만 관광객 시대’ 추진

울진을 걷다 대한민국의 숨에 머물다(금강소나무 숲길)

단순히 걷는 길이 아니다. 울진군이 선보인 걷기길은 숲과 바다, 계곡의 자연이 품은 치유의 공간이자, 머무르는 관광지로 도약하는 울진의 새로운 전략이다. 본격적인 피서철, 울진의 길 위에서 여행자들은 발걸음마다 힐링을 경험하게 된다.

 

울진군(군수 손병복)이 치유와 체험을 더한 걷기 관광 콘텐츠를 앞세워 '1,000만 관광객 시대' 실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동해선 전 구간 개통으로 접근성이 개선된 가운데, 산·계곡·해안선을 따라 조성된 울진의 다양한 걷기길은 관광객의 발걸음을 머무르게 하는 힘이 되고 있다.

 

울진을 걷다 대한민국의 숨에 머물다(월송정 명품 맨발걷기길)

평해읍 월송정 인근의 걷기길은 소나무 숲 사이로 황토 맨발길과 나무 데크가 조성돼 있는 이색 힐링 코스다. 구간별로 길이가 나뉘어 초보자부터 숙련자까지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사구 습지공원과 연계되어 있고, 인근 구산해수욕장에는 반려견 동반이 가능한 펫비치와 캠핑장이 자리해 다채로운 여행이 가능하다.

 

밤이 되면 은은한 조명이 길을 비추고, 월송정 누각 위로 쏟아지는 별빛이 자연스러운 포토존이 된다. 자연 속에서 발을 내딛는 순간, 여행자의 감각은 새롭게 깨어난다.

 

울진을 걷다 대한민국의 숨에 머물다(봇도랑길)

근남면 왕피천 계곡에는 농수로를 관광자원으로 재해석한 봇도랑길이 조성돼 있다. 2.2km(왕복 4.4km)에 달하는 이 길은 보를 따라 이어진 농수로 옆으로 소나무숲과 자갈길, 데크길이 번갈아 펼쳐져 지루할 틈이 없다.

 

계곡 옆으로 펼쳐지는 기암괴석과 그 사이를 뚫고 자라는 푸른 나무들은 왕피천의 비경을 그대로 보여준다. 걷고 난 후에는 연중 15도를 유지하는 천연 석회동굴 성류굴에서 시원한 탐험을 즐길 수 있다.

 

죽변면 국립울진해양과학관 앞에 위치한 393바다마중길은 바다 위를 걷는 교량형 트레일이다. 전망대에서는 7m 수심의 해양생물을 관찰할 수 있고, 2층 망원경 전망대에서는 푸른 동해를 조망할 수 있다.

 

울진을 걷다 대한민국의 숨에 머물다(해양과학관)

체험형 기구와 터치형 콘텐츠가 준비된 해양과학관은 아이를 동반한 가족 관광객에게 인기가 높다. 바로 앞의 후정해수욕장, 해안스카이레일까지 이어지는 관광 동선은 마중길의 매력을 더욱 넓혀준다.

 

금강송면의 금강소나무숲길은 수백 년간 보존된 원시림과 같은 숲길로, 산림욕과 피톤치드 테라피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대표 치유 코스다. 흙길과 데크로 구성된 탐방로는 7개의 노선으로 나뉘어 체력과 일정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길 곳곳에 마련된 쉼터에서는 숲의 고요함을 느낄 수 있고, 숲을 벗어나면 인근의 금강송에코리움에서 전시·숙박·스파 등 다양한 산림 힐링 콘텐츠도 경험할 수 있다.

 

울진군은 이제 '지나치는 여행지'에서 벗어나 '머무르는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길 위의 힐링 콘텐츠를 중심으로 숙박, 체험, 전시, 휴양을 자연스럽게 연계한 덕분이다. 특히 맨발걷기와 숲 체험 등 치유형 프로그램은 여행의 목적을 '쉼'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손병복 울진군수는 "관광은 이제 지역에 머무르며 진정한 매력을 체험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울진은 걷기길과 자연 인프라, 휴양 시설이 어우러진 힐링 여행지로서 누구에게나 쉼을 제공할 수 있는 곳"이라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