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업계 최초 러닝과 등산을 아우르는 신개념 하이킹화 제품이 등장했다. 러닝화처럼 가벼운 경량감을 자랑하지만 등산화의 기능까지 갖춘, K2의 '플라이하이크' 하이킹화다.
'발걸음이 가벼운 하이킹화' 콘셉트 아래 출시된 이 제품은 하반기 첫 출시 이후, 2019년 10만 4000족, 2020년 17만 7000족, 2021년 27만족, 2022년 33만 7000족까지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가벼운 착화감과 접지력으로 트레킹과 같은 단기 산행 뿐 아니라 일상에서도 착용이 가능한 점이 인기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실제 신소재인 그래핀 폼을 신발 중창 사용해 신발의 쿠션감과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집중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품군 확장하다
매출 성장세가 일자, K2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품군 라인업을 확장했다. 대표적으로 K2는 '플라이하이크 매트릭스'를 선보였다. 중창에 반발 탄성을 극대화한 플라이폼과 움직임을 보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새티스폼 소재를 이중으로 사용했다. 이 밖에도 한국 산악 지형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화강암 환경에 최적화된 엑스그립 고무 소재를 바닥창에 사용했다.
방수·방풍·투습 기능뿐 아니라 뛰어난 신축성을 가진 고어텍스 스트레치 소재도 적용했다. 신발 갑피에는 발 등 곡선에 맞춘 매트릭스 패턴 설계를 통해 균형 잡힌 압력 분산과 편안한 착화감을 선사하고자 힘썼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뒤이어 '플라이하이크 하이퍼랩' 제품군을 출시하며 또 다시 라인업 확장에 나섰다. 신발 중창에 고어텍스 서라운드 소재를 사용하며 기술력을 더한 것이 특징이다. 고어텍스 서라운드는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위는 물론 발바닥까지 땀과 열을 배출하면서도 완벽한 방수를 유지하는 고기능성 신발 소재다. 또한, 중창에는 갈비뼈 형태의 사출 구조가 적용돼 보행 시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며, 흔들림을 줄여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해 준다.
K2 신동준 신발용품기획팀 이사는 "플라이하이크 하이퍼랩은 혁신적인 설계를 통해 최상의 안정성과 쾌적함을 제공하는 제품"이라며 "혁신적인 기능과 세련된 디자인으로 트레킹과 등산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최적의 하이킹화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K2, 업계 최초 국산 등산화 제작
K2의 '업계 최초'라는 타이틀은 단순 하이킹화 출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K2는 국내 최초로 국산 등산화를 제작하며 국내 아웃도어 산업의 초석을 다졌다. 우리 기술로 한국 지형에 맞는 등산화를 처음으로 제작해 등산화 제품 시장에 새 지평을 연 것이다.
브랜드 이야기는 1970년대 등산화의 개념조차 생소했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구둣방을 운영하던 제화기술자 고(故) 정동남 회장은, 등산화를 모두 수입에 의존하던 현실 속에서 '왜 국산 등산화는 없을까'라는 의문을 품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외국 브랜드의 등산화를 직접 해부하며 소재와 구조, 디자인을 분석했고, 한국인의 발에 맞는 등산화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그렇게 1972년, 서울 청계천의 한 등산화 공장에서 '한국인에게 맞는' 국내 첫 등산화가 탄생했다. 기술자 서너 명이 제봉틀 3대를 활용하면서 첫 양산 등산화를 개발해 낸 것이다. 국내 최초 한국 양산 등산화 '로비'가 탄생한 순간이었다.
◆투자와 개발로 성장의 발판을 잇다
사내에 전담 개발실을 두고, 국내 산악 환경에 적합한 등산화의 소재와 디자인 개발에 힘쓴 K2는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1990년대에는 국내 등산화 시장의 절반을 차지할 만큼 입지를 굳혔다.
과감한 투자와 연구 개발 덕택이었다. K2는 국내 최초로 고어텍스 등산화, 다이얼을 적용한 등산화를 선보였다. 1999년에는 등산화의 밑창에 주목해 한국 산악 지형에 특화된 밑창 적용 소재 '엑스그립'을 개발했으며, 이 소재는 현재까지 K2 등산화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업계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한 K2 등산화는 지금까지도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며 많은 국내 등산객들에게 사랑 받고 있는 이유다.
한편, K2는 엑스그립 소재뿐 아니라 토캡과 머드가드 등 발을 보호하는 자체 기술을 전 등산화·하이킹화 제품에 기본으로 적용하고 있다. K2는 앞으로도 한국인의 표준 발 사이즈, 발 모양, 발 너비는 물론 한국의 산악지형까지 한국인의 발과 아웃도어 환경까지 고려한 신발 제품을 지속해서 개발 및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