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車·전자 등 국내 기업 하반기 '퍼펙트 스톰' 대비…"관세 대응·기술 경쟁력 확보로 돌파"

美 상호관세 8월 1일부터 현실화
현지 생산 확대·비용절감 가속화
공급망 개편 움직임 감지

기아 미국 조지아 공장 전경.

삼성전자·LG전자·현대자동차 등 한국 경제를 이끌고 있는 주요 수출 기업들이 올 하반기 미국발 관세 정책에 따른 실적 하락에 대응,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트럼프발' 관세태풍이 불기 시작한 지난 2분기에 가전과 자동차 등 주력 수출기업의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한미무역협상이 여전히 안개속인 상황에서 8월 1일부터 상호관세가 현실화되면 우리 기업들은 하반기에 '퍼펙트 스톰(복합 경제위기)'급 충격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4월 3일부터 25% 관세가 적용되면서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0%(1조6000억원) 가량 하락한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 점유율과 손익을 모두 방어하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 코로나19 등 다양한 외부 악재를 경험하면서 축적되어온 위기 돌파 능력을 바탕으로 위기를 기회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현대차는 재료·가공비를 절감하고 생산 효율화를 추진하는 한편 부품 현지 조달에 나서는 등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당장 가격을 인상하기보다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대응하는 '패스트 팔로워'(빠른 모방자) 전략을 따르기로 했다.

 

이승조 현대차 재경본부장은 "관세율에 따라 가격을 주도적으로 결정하기보다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고객 가치에 부합하는지 검토해서 탄력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아는 글로벌 세계 최대 수출국인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량과 수익성 확보를 위해 현지화 전략에 속도를 높인다.

 

기아의 상반기 미국 판매량은 42만대를 기록했지만 미 생산기지인 조지아주 공장 출고량은 18만대에 그쳤다. 이에 따라 기아는 차량 판매 인센티브까지 축소하며 관세 영향의 25~30%를 만회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기존에 미국에서 생산해 수출하던 물량 2만5000대를 현지 판매로 돌리는 등 현지 생산 물량은 현지에서 소화할 계획이다. 혼류 생산 체계 강점을 활용, 수요 감소세인 전기차 대신 하이브리드차와 내연기관차에 집중하는 등 파워트레인별 생산을 탄력적으로 확대한다.

 

삼성전자 반도체 라인 전경. /삼성전자

삼성과 LG전자 등 국내 전자업계는 글로벌 현지 공장 가동을 극대화하는 등 공급망 개편에 집중한다.

 

미국 관세 영향과 TV 시장 경쟁 심화로 2분기 영업이익(6394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반도막난 LG전자는 원가 경쟁력 강화와 공급망 다변화에 착수했다. 최근엔 글로벌 빅테크와 협의체를 구성하고 공랭식 칠러, CDU(냉각수분배장치) 등 상세 사양까지 논의 중이다. 전년 대비 수주 실적도 3배 이상 증가했다.

 

생산지 다변화로 미국의 관세에 대응한 유연성을 확보한다. LG전자는 "현재 공급체계를 유지하되 미국 내 권역별로 제품 공급지를 나눠 운영할 것"이라며 "세탁기의 경우 오는 9월부터 멕시코 멕시칼리 지역에 생산지를 추가해 관세 대응의 유연성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8월 1일 상호관세가 발효되면 미국과 멕시코 생산지 공급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LG전자는 미국 테네시 공장에서 세탁기와 건조기를 제조하고 있으며, 멕시코에서는 생활가전(냉장고·조리기기)과 TV를, 베트남에서는 냉장고, 세탁기 등을 생산하고 있다.

 

오는 31일 2분기 실적을 공식 발표할 삼성전자도 관세 영향으로 가전과 TV를 포함한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이 부진한 실적을 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전제품은 철강 비중이 커 철강 관련 관세 강화가 제조원가 상승과 함께 수익성 악화를 불러왔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삼성전자는 세계 각지에 보유한 생산 거점을 활용해 최적의 공급망 구축 및 재편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미국 생산 가전에서 작은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산 철강의 사용 확대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 사업부인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도 내년 가동을 목표로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짓고 있다.

 

2분기 고대역폭 메모리(HBM) 매출 호조는 물론 관세 선수요로 인해 영업이익 9조원을 넘어서는 등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한 SK하이닉스는 하반기 시장 상황에 따라 생산과 재고를 적절히 운영할 방침이다.

 

LG전자 미국 테네시 공장 전경/LG전자

SK하이닉스는 "향후 관세 정책에 따라 구매 수요가 영향받을 수 있지만 수요 가시성이 확보된 제품 중심으로 안정적 사업 운영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의 50% 품목별 관세 영향으로 큰 폭의 실적 하락세를 겪은 철강업계도 실적 개선을 위한 대응에 집중한다.

 

현대제철은 하반기 중국의 철강 감산 및 경기 부양책 시행 등에 따른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전기로-고로 복합 프로세스 투자와 고부가 제품군 강화 등 경쟁력 강화의 고삐를 조일 계획이다.

 

2분기 실적 악화가 예상되고 있는 포스코홀딩스는 관세 대응을 위해 생산 현지화와 신소재 사업 확장에 투자하며 승부수를 띄운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홀딩스는 오는 31일 2분기 실적 발표를 진행한다.

 

김승준 기아 재경본부장은 2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관세는 세계 모든 업체가 당면한 위기요인"이라며 "핑계 대거나 주저앉지 않고 기본 체력과 상품력 강화의 기회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