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기종 늘며 정비 수요 '폭증'
엔진·기체 정비 역량 빠르게 '확대
'
대한항공, 북미·유럽 정비인가 확보
KAI·한화, 기체·엔진 정비 동시 강화
항공기 유지·보수·정비(MRO) 시장이 사상 최대 호황을 맞이한 가운데, 국내 주요 항공·방산기업들이 글로벌 시장 진출과 정비 역량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KAI),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은 외항사 고객 확보와 시설 확대, 해외 인수전 등을 통해 'K-정비' 브랜드 강화에 나서고 있다.
27일 국제 컨설팅 기관인 ICF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전 세계 항공기 MRO 시장은 1240억달러(169조4200억원) 규모로 전년 대비 6% 성장해 올해는 1290억달러(170조6600억원)로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엔진정비가 전체 MRO 시장의 51%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부품정비 21%, 라인정비 13%, 기체정비 8%, 항공기 개조 6% 순이다.
글로벌 항공기 운항량 회복세와 더불어 노후 항공기 비중이 확대되고, 차세대 기종 인도는 지연되면서 MRO 수요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분석이다.
이에 대한항공은 세계 시장을 겨냥해 정비 역량을 집중 강화하고 있다. 현재 대한항공은 아메리칸항공, 에어프랑스, 카타르항공, 에어캐나다, 에어로멕시코, KLM 등 16개 외항사를 고객으로 두고 있다. 미국 FAA, 유럽 EASA, 중국 CAAC 등 주요 항공당국으로부터 정비 인가도 받았다.
특히 인천 영종도 운북지구에 건설 중인 '엔진 정비 클러스터'가 오는 2027년 완공되면 연간 엔진 정비 처리 능력이 현재 130대에서 360대로 약 2.8배 늘어난다. 기존 6종이던 엔진 정비 가능 모델도 9종으로 확대됐고 향후 신기종 엔진까지 정비 영역을 넓히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한국항공우주의 자회사 한국항공서비스(KAEMS)도 MRO 외연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2018년 출범한 KAEMS는 제주항공, 이스타항공, 하이즈항공, 에이테크에이비에이션 등이 1~2%씩 지분을 나눠 투자한 LCC 기반의 MRO 전문 기업이다. 출범 초기 국내 LCC 기체 정비 중심에서 출발했지만 현재는 해외 항공사로까지 고객층을 넓혔다.
실제 KAEMS는 지난달 30일 태국 국적사 타이항공과 2년간 운항정비 계약을 체결했다. 올해 말 경남 사천·용당 MRO 산업단지가 본격 가동되면, 기체·구조물 분야 중정비 역량도 한층 두터워질 전망이다.
방산 강자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역시 민간 항공 MRO 시장에 본격 진출하고 있다. 자회사 한화에비에이션은 최근 미국에서 GE, CFM 인터내셔널 등 항공 엔진 정비 특화 시설을 인수하며 북미 시장 교두보를 확보했다. 현재 리브랜딩 작업이 한창이며, 미군 헬기정비 사업을 비롯해 향후 민항기 MRO까지 사업 확장을 추진 중이다. 출범 1년 만에 항공기·항공엔진 리스에서 MRO로 이어지는 통합 서비스 모델을 구축하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국내 MRO 시장은 글로벌 점유율 4% 안팎에 불과하지만, 엔진·부품 중심으로 정비 역량을 쌓아나가면 빠른 시간 안에 'K-정비' 브랜드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라며"다만 숙련 인력 부족과 항공기 부품 리드타임 지연은 여전히 업계의 개선점 중 하나"라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