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경남도, 창녕 성산면 ‘용흥사지’ 道 기념물 지정

사진/경상남도

경상남도는 24일 창녕군 성산면에 있는 '창녕 용흥사지'를 도 기념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창녕 용흥사지(昌寧 龍興寺址)는 옛 용흥사가 있던 터다. 정확한 건립 시기는 확인되지 않으나, 조선 후기 경일대사가 저술한 '동계집' 수록 '비슬산 용흥사 사적기'에 따르면 창녕의 진산인 관룡산(觀龍山)에 지기(地氣)를 불어넣으려는 목적으로 용흥사라는 사찰명을 정했다고 기록돼 있다.

 

동계집(東溪集)은 조선 효종·숙종 시대 활동한 경일대사(敬一/1636~1695)의 시문집으로, 1711년 밀양 재약산 영정사에서 간행됐다.

 

이 사찰은 임진왜란 당시 건물 대부분이 불타버렸지만, 1614년 나한전 보수를 계기로 꾸준한 불사가 진행돼 17세기 대웅전을 포함한 주요 건물들이 건립됐다. 선원(禪院), 강원(講院), 율원(律院)을 모두 갖춘 종합수행도량으로 경상좌도 총림(叢林)의 지위까지 올라 사세가 크게 번성했다.

 

1826년에는 영조의 서녀(庶女) 화령옹주의 원찰로 지정되기도 했으나, 19세기 들어 점차 쇠퇴해 20세기 초 완전히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2021년부터 3회에 걸친 발굴 조사에서 문헌 기록에 남아있던 대웅전지를 포함해 동원지, 서원지 등 총 17곳의 건물터와 축대, 담장지 등이 발견됐다.

 

건물 배치와 평면 구성을 통해 조선 후기 산지 가람 배치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창녕 지역 대표 불교 유적으로 학술적·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정됐다.

 

이진희 경남도 문화유산과장은 "우리 도는 계속해서 우수한 문화유산을 발굴, 지역 문화유산의 체계적 보존·관리와 함께 전 도민이 향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