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IBK투자증권, 실적 회복 멀었다…PF 리스크에 IPO 존재감도 미미

-상반기 순이익 250억…전년 대비 14% 감소
-하반기 반등 가능성 낮아…"실적 반등까지는 ‘시간’ 필요"

/IBK투자증권

IBK투자증권이 좀처럼 실적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수수료 수익 감소와 기업금융(IB) 부문의 거래 지연, 운용 수익 급감 등이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24일 IBK기업은행에 따르면 IBK투자증권의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4% 감소했다. 분기별로는 1분기 120억원, 2분기 130억원 수준에 그쳐,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진 못했다.

 

특히 운용 부문의 부진이 실적을 짓눌렀다. 1분기 파생상품거래 및 평가 손익은 117억원 순손실로, 전년 동기 88억원 순이익에서 적자 전환됐다. 수수료 수익도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탁수수료는 전년 동기 101억원에서 75억원으로, 자산관리 수수료는 1억6481만원에서 5574만원으로 각각 줄었다. 2분기에도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되며 실적 개선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IBK투자증권 한 관계자는 "1분기와 마찬가지로 신규 딜 지연과 수수료 수익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잠재 리스크도 여전히 부담이다. 올해 3월 말 기준 IBK투자증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우발채무는 4973억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40.9% 수준이다. 이 가운데 중·후순위 약정 비중이 68.0%에 달해 질적인 리스크도 상당하다.

 

IPO 시장에서도 존재감은 미미하다. '중소기업 특화 증권사'를 표방해온 IBK투자증권은 올해 상반기 단 1건의 IPO만을 주관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도 연간 기준으로 2건에 불과했으며, 2021~2023년 연평균 4∼5건 수준과 비교해도 크게 줄었다. 같은 기간 중소형 증권사인 신영증권은 3건의 주관 실적과 총 597억원의 공모 규모를 기록하며 비교적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시장에서는 IBK투자증권이 변화하는 IPO 시장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한 IPO 업계 관계자는 "주관사의 평판은 단기간에 형성되기 어렵지만, 고객사에 대한 태도와 서비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장에 자연스럽게 알려진다"며 "평판 관리를 잘하는 주관사는 장기적으로 신뢰를 얻는 반면, 그렇지 못한 곳은 점차 선택에서 배제된다"고 말했다.

 

하반기에도 뚜렷한 반등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 신용평가사 연구원은 "중소형 증권사의 경우 이익 체력이 약해 PF 리스크에 취약하다"며 "IBK투자증권은 영업 기반이 크지 않아 당분간 수익성 개선을 기대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