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현대차, 美 관세 직격탄 영업익 15.8%↓…관세 대응 부품 현지화 추진

현대차 양재사옥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점유율과 수익성 확대를 위한 치열한 수싸움에 돌입한다. 한국의 자동차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25% 품목 관세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현대차는 올해 연결 기준 2분기 영업이익 3조60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8% 감소했다고 24일 공시했다. 현대차는 지난해까지 최대 실적 흐름을 이어갔지만 글로벌 경기 침체와 미국의 관세 영향으로 이번 분기에는 10%대 추락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국내,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 증가로 외형적 성장이 가능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하고, 경쟁 심화에 따른 인센티브 등 판매비용 증가로 손익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대차는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차(HEV) 판매, 금융 부문 실적 개선, 환율 효과에 힘입어 매출은 7.3% 증가한 48조2867억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3조2504억원, 영업이익률은 7.5%였다.

 

현대차는 올해 2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0.8% 늘어난 106만5836대를 팔았다. 국내 시장에서는 팰리세이드와 아이오닉9 등 신차효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5% 증가한 18만8540대가 판매됐다. 해외 시장에서도 87만7296대가 팔리며 판매가 0.7% 늘었다.

 

현대차그룹이 작년 10월 미국 조지아주에 준공한 친환경차 전용 공장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현대차는 수익성 확대를 위해 8월 1일 관세 정책 이후 적극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관세 부과 후 현재까지 미국 현지 판매 가격을 동결 중이다.

 

현대차는 이날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미국 관세 대응과 관련해 "단기 방안으로는 경쟁사 등 시장 상황을 면밀히 고려해 인센티브와 가격전략을 실시하고 재료비, 가공비 절감은 물론 부품 변경을 추진해 생산 효율화를 통한 근본적 대응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중장기 전략으로는 R&D(연구개발), 생산, 품질 등 다각적 부분에서 전략적인 부품 현지화를 추진하고자 한다"며 "시나리오별로 완성차 현지생산 확대를 면밀히 검토해 탄력적으로 시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 대응과 하반기 전략과 관련해 "관세 영향과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며 "연초에 밝힌 수익성 가이던스는 현재 기준에서 유지하고 8월 1일 이후 관세정책에 대한 가시점이 확보되는 상황에서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2025년 가이던스 업데이트에 대해 시장과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