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제로백 3.8초, CTB 구조 탑재…BYD '씰' 국내 상륙

급제동·고속 회전서도 안정적
제로백 3.8초…스포츠카급 성능
세제혜택 적용가 4690만원 책정

BYD '씰'외관 모습./이승용기자

중국 전기차 브랜드 BYD가 국내 시장에 두 번째 승용 모델 '씰(Seal)'을 선보였다. 고성능 사륜구동 모델 '씰 다이내믹 AWD'를 중심으로 기술력과 주행 성능을 전면에 내세우며, 경쟁이 치열한 한국 전기차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섰다.

 

BYD는 지난 16일 경기 용인의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씰 미디어 트랙 데이'를 열고 다양한 시승 프로그램을 통해 차량의 역동성과 기술력을 선보였다. 참가자들은 트랙 주행과 짐카나, 공도 시승, 택시 드라이빙 등 네 가지 주행 모드에서 씰의 성능을 직접 체험했다.

 

트랙 주행에서는 씰의 강력한 가속력과 고속 안정성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스포츠 모드로 설정한 뒤 페달을 밟자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단 3.8초 만에 도달하며 전기 모터 특유의 즉각적인 반응성을 체감할 수 있었다. 시속 180km 이상 속도로 진선구간을 통과해도 차량은 흔들림 없이 자세를 유지했고, 고속 주행 중 급회전 상황에서도 차체 밸런스는 무너짐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짐카나 코스에서는 민첩한 차체 제어 능력이 돋보였다. 좁고 복잡한 구간에서 방향을 연속적으로 바꾸는 상황에서도 차량은 날렵하게 반응했고, 고출력 듀얼 모터와 저중심 설계의 조화 덕분에 주행 내내 균형이 무너지지 않았다. 특히 급제동 테스트에서는 브레이크 반응이 매우 날카롭게 작동했으며 차체가 쏠리거나 뒤틀리는 느낌없이 안정적으로 멈춰섰다. 전기차 특유의 무게감에도 제동 안정성이 인상적이었다.

 

씰은 BYD의 최신 기술인 셀투바디(CTB)를 처음으로 적용한 전기차다. 배터리를 차체와 일체화한 이 구조는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실내 공간을 극대화한다. 차체는 경량화되면서도 강성이 향상돼, 충돌 안전성과 주행 안정성 모두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BYD '씰'의 1열 모습./BYD코리아

또한 셀투바디 구조로 충돌 시 배터리와 차체가 충격을 함께 분산시키며 배터리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이는 전기차의 핵심 안전 문제인 배터리 화재 리스크를 크게 줄여주는 기술이다.

 

다이내믹 AWD 모델에는 전·후방에 각각 고성능 모터가 탑재돼, 최고출력 530마력, 최대토크 670Nm의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이는 웬만한 고성능 스포츠카와 맞먹는 수준이다.

 

외관은 공기역학적 디자인을 통해 공기저항계수(Cd)를 0.219까지 낮췄으며, 날렵한 실루엣과 직선적인 디테일이 어우러져 현대적인 전기 세단 이미지를 구현했다. 실내는 12.8인치 회전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구성됐고, 고급스러운 소재와 탑승 편의 기능을 다양하게 갖췄다. 2열 공간도 넉넉해 중형 이상 세단 수준의 거주성을 제공한다.

 

씰 다이내믹 AWD 모델의 국내 판매 가격은 친환경차 세제 혜택 적용 시 4690만 원으로 책정됐다. 이는 기아 EV4 롱레인지 모델과 유사한 수준이며, 고성능 전기 세단을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것이 강점이다. 향후 BYD는 보다 긴 주행거리를 갖춘 후륜구동(RWD) 모델도 출시할 계획이다. 1회 충전으로 최대 407km, 저온 환경에서는 약 371km까지 주행할 수 있다. 급속 충전 성능도 우수해, 20%에서 80%까지 약 30분 만에 충전할 수 있다.

 

조인철 BYD 코리아 승용부문 대표 모습./이승용기자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는 "현재 사전 예약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며 8월 중으로 인도가 시작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아토 3와 씰에 이어 씨라이언 7까지 국내 고객에게 차근차근 다가가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