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코스닥 기업 탐방] 디엑스앤브이엑스, 백신·비만 치료제 글로벌 협상 박차

/디엑스앤브이엑스 CI.

서울 금천구에 위치한 바이오기업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전통적인 바이오텍과는 분위기부터 다르다. 단일 질환에 집중하는 일반적인 바이오 기업들과 달리 회사는 백신, 대사질환, 항암, 안과질환, 항바이러스 등 광범위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며 인간 전 생애 건강관리를 표방하고 있다.

 

디엑스앤브이엑스의 출발은 지난 202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미약품 임종윤 사장이 코스닥 상장사였던 캔서롭의 최대주주(지분 19.57%)로 올라서면서 새로운 길이 열렸다. 이후 영국 옥스퍼드대의 스핀오프 기업 '옥스퍼드 백메딕스(OVM)'의 항암 백신 기술을 도입하며 사명을 디엑스앤브이엑스로 바꿨고 정밀의료 중심 신약개발 기업으로 체질을 전환했다.

 

회사의 기술 포트폴리오는 한 축이 백신 플랫폼이다. 권규찬 대표는 "상온 초장기 보관이 가능한 mRNA 백신 플랫폼을 자체 개발해 지난해 한국형 ARPA-H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기존 mRNA 백신과 달리 콜드체인 없이도 10년 이상 상온에서 보관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백신 산업 생태계를 바꿀 수 있는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해당 플랫폼은 국내외 다수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물질이전계약(MTA) 협상을 진행 중이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MTA는 라이선스아웃의 전 단계로 기술 검증 후 기술이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오브맘' 브랜드./디엑스앤브이엑스

디엑스앤브이엑스가 주목하는 다른 영역은 비만 치료제다. 최근 글로벌 빅파마들이 주사형 GLP-1 계열에서 경구형 치료제 개발로 방향을 트는 가운데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유기합성 신약 기반의 차세대 항비만제를 개발 중이다.

 

권 대표는 "글로벌 빅파마들이 주사형에서 경구형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며 "디엑스앤브이엑스는 펩타이드가 아닌 독자적인 화학구조의 유기합성물 기반으로 개발 중이며 글로벌 파마 대비 우수한 활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해당 자산은 현재 복수의 기업들과 대형 기술이전 논의가 오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백신 파이프라인 중 대표 제품은 'OVM200 ROP 항암백신'이다. 영국 옥스퍼드 백메딕스에서 도입한 플랫폼으로 대부분의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서바이빈(Survivin)' 항원을 타겟으로 한다. 현재 영국에서 임상 1b/2상이 진행 중이며 국내 및 중국 임상을 위한 식약처 미팅 등을 활발하게 준비하고 있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오브맘'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 제품군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 기반도 확보하고 있다. 최근 오브맘 제품이 국내 다이소에 입점했으며 치료보조제 '덱스벡스'의 유통망도 확대 중이다.

 

권 대표는 "신약 파이프라인은 단계별 기술이전과 라이선스 아웃을 통해 R&D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술 자산의 조기 수익화로 비현금성 재무 이슈를 해소하고 시장과의 소통도 강화해 주주 가치를 높이겠다"고 덧붙였다.

 

짧은 시간 안에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글로벌 협상 테이블에 오른 디엑스앤브이엑스. 기술에 대한 확신과 실행력을 앞세운 회사가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의 다음 흐름을 선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