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AI·반도체가 키운 '750조 시장'…삼성·LG, '냉난방공조'에 꽂힌 이유는

AI·반도체 확산에 냉각수요 급증
글로벌 HVAC 시장 연 6% 성장세
EU 탄소중립 정책도 시장확대 견인
삼성, 플랙트 인수로 통합 솔루션
LG, OSO 온수기술로 생활 전반 겨냥

챗GPT로 생성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열을 다스리는 기술'인 HVAC 시장에서 경쟁하는 모습'을 담은 AI 이미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유럽 냉난방공조(HVAC) 전문기업을 잇따라 인수하며 새 성장동력 확보에 적극 나섰다. 고성능 인공지능(AI)과 반도체 확산으로 발열량이 급증하면서 '열을 다스리는 기술'이 전자업계의 새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2일 글로벌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HVAC 시장은 2024년 3016억 달러(약 415조원)에서 2034년 5454억 달러(약 750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AI 서버와 반도체 장비 가동이 늘면서 냉각 수요가 치솟고 있다. 특히 데이터센터, 클린룸, 공장 등 대형 산업시설은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면서 막대한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열 관리 시스템이 없이는 운영 자체가 불가능한 수준이다.

 

삼성전자가 인수한 유럽 최대 공조 기업 플랙트그룹 본사 전경. /플랙트그룹

유럽연합(EU)의 정책 변화도 공조 시장에 불을 붙이고 있다. EU는 '핏 포 55(Fit for 55)' 정책을 통해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5% 감축하고,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에 따라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각국은 가스·석유 보일러 신규 설치를 단계적으로 금지하고, 히트펌프 등 친환경 냉난방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독일은 히트펌프 설치 시 최대 50%까지 정부 보조금을 지원하며, 프랑스·오스트리아 등도 소득 수준에 따라 다양한 보조금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지난 5월 독일 산업용 공조기업 플랙트그룹을 15억유로(약 2조3700억원)에 인수했다. 2017년 하만 인수(약 9조4000억원) 이후 최대 규모 인수합병(M&A)이다.

 

플랙트그룹은 데이터센터, 반도체 공장, 기가팩토리 등 고발열 산업시설에 특화된 냉각·공조 솔루션을 제공하는 유럽 최대 HVAC 기업이다.

 

삼성전자는 플랙트그룹 인수를 통해 반도체부터 서버, 데이터센터, 냉각까지 수직 통합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자사 스마트싱스 플랫폼과 연결되는 AI·사물인터넷(IoT) 기반 통합 HVAC 서비스 모델도 구축할 방침이다.

 

올해 초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 냉난방공조 전시회인 'ISH 2025'에 참가한 OSO의 부스 전경. /LG전자

LG전자는 지난달 30일 노르웨이 온수 솔루션 전문기업 OSO의 지분 100%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인수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업계는 수천억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

 

1932년 설립된 OSO는 스테인리스 고효율 온수 저장장치(워터스토리지) 분야에서 유럽 시장점유율 1위 기업이다. 히트펌프·보일러와 연계한 고효율 온수 시스템을 강점으로 한다.

 

LG전자는 자사 히트펌프와 OSO의 온수 저장 기술을 결합해 유럽 주거·상업 공간의 전기화·탄소중립 수요를 흡수하는 통합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삼성이 대형 산업시설을 노린다면, LG는 생활밀착형 친환경 시스템에 집중하는 전략이다.

 

LG전자는 지난해 말 HVAC 사업 성장을 위해 ES사업본부를 신설했다. 지난 3월에는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센터에 냉각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차근차근 기반을 다지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