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백중의 의미

image

 

백중(百中)은 음력7월15일로 백종(百種)이라 칭해지기도 한다. 중원(中元)이나 망혼일(亡魂日)로 불리기도 하는 백중은 수행처에서 여름 안거를 해제하고 나오신 청정 스님들의 수행 공력과 불보살님들의 가피를 함께 구하는 것이다. 정성스레 차린 음식과 5가지 과일, 향촉과 가사 등으로 공양을 올리면 이 인연 공덕으로 지옥문이 열려서 모든 지옥에 있는 유주, 무주고혼들이 함께 부처님의 법음을 듣고 지옥고를 면하고 해탈지를 얻는 날이라고 알려져 있다.

 

대승불교권에서는 부처님의 상수제자인 목건련존자가 그 어머니의 영혼을 구하기 위해 올린 재가 그 효시이다. 살아생전에 불선업을 많이 지은 목건련존자의 어머니는 사후에 지옥에 떨어졌고, 부처님 제자 중 신통제일이라는 목건련존자는 아무리 신통을 써봐도 어머니는 다시 지옥으로 떨어지곤 했다. 결국, 부처님께 울면서 도움을 요청했고 석가세존은 인도 당시의 우안거를 끝내고 나오는 비구승들에게 오미백과(五味百果)를 정성껏 공양 올리며 축원 회향을 청하라고 일러주신다.

 

이것이 우란분재(盂蘭盆齋)이며,'목련경(目連經)'이나 '우란분경'에 보면 7대의 선망 부모와 조상을 위하여 참회와 발원을 하는 제를 올리면서 안거를 해제하고 나오는 청정 스님들에게 밥 등의 음식과 5가지 과일 향촉과 의복으로 공양하게 되면 이 정성으로 아귀(餓鬼)지옥에서 고통받는 선망 조상 영가들이 구제받을 수 있다는 데서 유래했다. 백중은 지옥문이 열린다는 날로 지장경의 한 대목을 빌리자면, 재를 지내는 공덕의 삼분의 일은 영가에게 돌아가고 나머지 칠분의 일은 재를 올리는 자손에게 공덕이 돌아간다 했다. 백중날은 절에서 불보살님의 가피력을 의지하는 것은 조상님들은 물론 자손들에게도 복이 되는 일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