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재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확대 대응…새로운 전략으로 돌파구 모색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뉴시스

국내 주요그룹들이 다음달에 글로벌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향후 전략을 구상하기 위한 상반기 전략회의를 개최한다.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등 주력 수출산업의 복합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글로벌 리더들이 머리를 맞댄다. 다만 LG그룹은 매년 상반기에 열던 전략보고회의를 올해 쉬어가면서 3년간 구상해온 전략을 실행하는데 집중할 방침이다.

 

25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해 SK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등은 내달 전사 차원에서 경영전략 회의를 열고 현재 경영현황과 대응방안을 점검한다.

 

삼성전자는 전영현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장 부회장과 노태문 DX(디바이스경험) 부문장 직무대행 사장 주재로 글로벌 전략회의를 진행할 전망이다. 글로벌 전략회의는 삼성전자가 매년 6월, 12월 경영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마련하는 자리다. 부문장 주재 하에 주요 경영진과 해외 법인장 등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한다.

 

이번 회의에선 미국 정부의 반도체 수출통제와 관세폭탄 등 글로벌 무역환경 불확실성 속에서 실적 대응을 위한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삼성전자 MX(모바일경험)의 경우 올 하반기 출시를 앞둔 '갤럭시 Z플립7·폴드7' 등의 판매 전략을 수립할 것으로 보인다. 환율과 원가 부담 등으로 프리미엄 전략과 수익성 간의 균형이 과거 어느때보다 중요해진 시점이다.

 

국내의 한 반도체 생산공장 내부

SK그룹은 오는 6월 13~14일 하반기 경영전략회의를 개최한다. 올해 주요 의제는 계열사별 리밸런싱 상황 점검, 인공지능(AI) 사업 확대, 정보 보호 강화 등이 될 전망이다.

 

업계는 SK그룹이 이번 경영전략회의에서 최근 문제 됐던 SK텔레콤 가입자식별장치(USIM) 정보 유출사고에 대한 신뢰 회복, 보안 투자 등도 논의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입자의 피해보상, 위약금 면제 등이 현실화될 경우 그룹 전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SK그룹은 현재 계열사 보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정보보호혁신 특별위원회를 출범, 활동하고 있다. 최창원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위원장을 맡고 윤풍영 SK㈜ AX 사장이 부위원장을 맡았다.

 

현대차그룹 양재동 본사

현대차그룹은 다음달 상반기 해외권역본부장 회의를 개최할 전망이다. 현대차와 기아 각사 CEO 주재 하에 열리는 회의로 권역본부장들과 판매, 생산 법인장들이 참석한다. 이번 회의에선 미 관세폭탄에 대한 대응책과 국가별 사업전략을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부터 모든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대차·기아는 현지 생산량 확대와 미국 관세에서 안전한 국가 등의 생산 확대로 판매와 수익성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현대차는 '디 올 뉴 팰리세이드' '디 올 뉴 넥쏘' '더 뉴 아이오닉 6' 등 신차를 앞세워 각 시장별 현지화 전략에 나선다. 기아도 EV4 등 전기차 라인업 확대와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 모델을 활용한 판매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LG그룹은 상반기에 진행해온 전략보고회를 올해 쉬어간다. 전략보고회는 계열사와 사업본부의 중장기 전략 방향을 점검하고 미래 준비를 심도 있게 살펴보기 위한 자리다. 최고경영자가 구광모 회장에게 직접 보고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LG전자와 LG화학 등 주요 계열사의 전략 보고가 1차례 이상 열린 만큼 올해는 별도의 전략 보고회를 열지 않고 계열사별 전략을 실행하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

 

재계 관계자는 "연례 전략회의는 각 기업별로 글로벌 시장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수립하는 성격이 강했다"며 "미국 관세 보복과 글로벌 경기 위기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기업들이 생존을 위한 전략적 회의로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