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1년 계약 장기렌터카 인기…'고객 확보' 위한 업체간 경쟁 치열

낮은 초기 비용과 차량관리 편의성 이점 작용
SK렌트카 지난해 업계 최초 1년 상품 선보여
쏘카 주행거리 무제한…최대 5명 등록 가능해

/각 사

장기렌터카 시장에 개인 고객의 비중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낮은 초기 비용부담, 차량관리 편의성 등이 이점으로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1년 계약 상품도 나오고 있어 렌터카 업체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렌터카 시장은 장기렌터카 확산에 힘입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100만대를 돌파한 렌터카는 2024년 말 124만대를 기록해 전체 승용차등록대수의 5.7%를 차지하고 있다.

 

렌터카시장 확대 중심에는 장기렌터카 시장에 개인 고객 비중이 빠르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장기렌터카는 초기 비용 부담과 차량관리의 편의성 등으로 차량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세금에서 가장 이점을 보인다. 자동차를 구매했을 경우 차량 가격의 약 7%를 납부해야 되는 취득세가 없고, 매년 2번씩 지불해야 되는 자동차세도 면제다.

 

이런 세무적 이점과 구독 경제 확산, 신차 출시 주기 단축 등 여러 요인이 맞물리면서 SK렌터카, 롯데렌터카, 쏘카 등 렌터카 업체들은 기존 3년 이상 계약에서 1년 계약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SK렌터카는 1년 신차 대여 상품을 지난해 9월 업계에서 가장 먼저 출시했다. 이용 방식은 ▲1년 만기 시 반납하는 ▲약정 주행거리는 1만or2만km 중 선택 ▲보험은 가족 + 최대 2인(유료) ▲연 1회 방문 정비 및 소모품 교체 등이 있다.

 

4월 말 기준 그렌저, 토레스, 스포티지, 투싼, 팰리세이드 등 차량 등 5종의 차량을 1년 렌터카로 계약할 수 있다.

 

롯데렌터카는 '마이카 자유반납형'이라는 이름으로 상품을 운영하고 있다. 계약기간은 4년 고정이지만 1년 이용 후 위약금 없이 해지가 가능하다는 점이 실질적으로는 1년 계약처럼 이용할 수 있다. 그랜저, 싼타페, 쏘나타, 아반떼, 코나, 투싼 등 현대차와 셀토스, 스포티지, 쏘렌토, 카니발, K5 등 기아차를 포함해 총 11종의 차종을 제공하고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쏘카도 계약 1년이 지나면 해지 위약금을 면제하는 '신차장기플랜' 상품을 선보이며 경쟁에 뛰어들었다. 롯데렌터카와 유사하게 24개월이나 30개월 계약 후 12개월 이상 이용 시 위약금없이 해지하는 방식으로 반납한다.

 

쏘카의 경우 SK·롯데렌트카와는 달리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렌트 시 설정되어 있는 약정 주행거리를 없애면서 추가 요금 없이 무제한으로 차량을 이용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최대 연 2만km 내외로 설정된 주행거리를 초과하면 계약 종료 이후 추가요금을 내야하지만 제한을 없애면서 고객 부담을 줄였다.

 

또한 보험도 계약자를 포함해 최대 5명까지 무료로 등록할 수 있어 가족, 친구, 동료 등이 함께 이용할 수 있어 비용은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물 키 없이 앱에서 스마트키를 제공하기 때문에 운전자 누구나 필요할 때 바로 차량을 이용 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장기계약 중심의 렌터카 시장이 짧고 유연한 신차 이용을 원하는 수요에 맞춰 변화하고 있다"며 "업체가 저마다의 장점과 혜택뿐 아니라 계약 전후의 실질적인 운용 부담을 줄여주는 부가 서비스까지 더해져 소비자들의 선택 폭이 점점 더 넓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