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SK C&C→SK AX로 사명 교체, 왜? '단순 리브랜딩' 아닌 '기업 정체성 리셋'

SK C&C가 27년 만에 'SK AX'로 사명을 바꾸고, AI 전환 전문 기업으로의 정체성 리셋에 나섰다./ 챗GPT로 생성한 이미지

SK C&C가 27년 만에 기존 사명을 내려놓고 내달부터 SK AX로 새 출발을 하는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4일 SK AX는 "이번 사명 변경은 기존 IT 서비스 회사의 역할에서 벗어나 고객의 비즈니스 전환을 빠르고 강력하게 실현하는 'AX(인공지능 전환)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고 회사 명칭 교체 사유를 밝혔다.

 

SK AX는 사명 변경은 단순한 '리브랜딩'이 아닌 기업의 '정체성 리셋'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산업 전반에서 인공지능이 본질적 경쟁력을 가르는 기준이 된 상황에서 변화의 필요성을 절감해 기술 도입보다는 조직 전환에 초점을 맞춘 브랜드 환골탈태를 감행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사명 교체를 계기로 회사는 업무 방식, 시스템, 조직 구조 전반을 AI 중심으로 재설계하기로 했다. 단순히 AI를 도입하는 수준에서 한발 더 나아가 모든 업무의 출발점을 AI에 두는 'AI 디폴트 컴퍼니', 즉 AI를 조직 운영의 표준으로 삼는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구상이다.

 

SK AX는 내부적으로 인간과 AI가 유기적으로 협업하는 '휴먼 위드 AI' 업무 방식을 정착시키고, 외부적으로는 다양한 산업에서 AI 우선 운영 체계를 발굴해 전방위적인 AI 전환을 실현한다는 복안이다. 오는 2027년까지 생산성을 30% 이상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는 전사적 AX 전환의 구체적 성과 지표라고 SK AX는 부연했다.

 

SK AX 관계자는 "이 같은 변화는 기술이 아니라 '시선의 전환'에서 출발한다"며 "과거 SK C&C가 고객에게 기술을 제공하는 사업 회사였다면, SK AX는 고객과 함께 고민하고 변화를 설계해 나가는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회사는 그간 제조 현장의 불량률 예측과 설비 고장 감지, 고객 행동 기반 초개인화 금융 서비스, 물류 수요 예측 기반 자원 최적화 등의 비즈니스 사례를 꾸준히 축적해왔다. 이러한 경험이 국내 산업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확장성과 실증력을 갖춘 미래형 모델로 진화할 것으로 SK AX는 기대하고 있다.

 

SK AX 관계자는 "북미, 유럽의 주요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AI 기반 디지털 트윈, 생산 계획 자동화, 에너지 최적화 솔루션을 제안하는 움직임이 그 시작이다"며 "기술과 서비스 확장에는 인프라 역량이 함께 뒷받침될 것"이라고 말했다.

 

SK AX는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와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자원을 기반으로 한 AI 전용 데이터센터(AIDC) 사업 확장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AI 서비스에 최적화된 자원 운영 자동화, 실시간 상태 진단, 에너지 효율 최적화 등 AI 특화 인프라 기술도 고도화한다. 단순한 클라우드 운영이 아닌 AI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산업 맞춤형 인프라'를 함께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SK AX는 "이번 사명 변경은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보다 '어떻게 일하고, 누구를 위한 회사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답을 새롭게 써 내려가는 과정"이라며 "기술보다 방향이, 조직보다 관점이 중요해진 시대에 SK AX라는 새로운 이름에 미래를 담았다. 이름만 바뀐 것이 아닌 기업의 존재 방식이 바뀌고 있고, 그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