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뷰티

"프리미엄 뷰티 쟁탈전"…온라인 커머스, 브랜드 유치 경쟁

컴온스타일 팝업스토어 '겟잇뷰티' 존에서 방문 고객들이 럭셔리 뷰티 제품을 둘러보고 있는 모습 / CJ온스타일

뷰티 시장이 중저가와 프리미엄 시장으로 양분화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유통 채널들이 고가 화장품 브랜드를 앞다퉈 유치하며 프리미엄 뷰티 시장 틈새 공략에 나서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CJ올리브영, 컬리, 쿠팡 등 온라인 유통 플랫폼들이 프리미엄 뷰티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명품 브랜드 유치에 나서고 있다. 중저가 뷰티를 선호하는 1020세대 대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3040세대 소비층을 겨냥한 전략이다.

 

기존 평균 20만~40만 원대 프리미엄 뷰티 상품은 전통적으로 백화점 1층 공간을 중심으로 유통돼 왔다. 그러나 3040 소비층의 온라인 구매 비중이 높아지자, 온라인 플랫폼들이 프리미엄 브랜드 유치 경쟁을 벌이며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연령대별 주요 온라인 커머스의 1인당 평균 순 결제 추정금액은 30대가 약 9만5000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에 CJ온스타일은 지난해 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내에 프리미엄 뷰티 전문관 '럭스관'을 신설한 뒤, 본격적인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 확장에 나서고 있다. CJ온스타일은 지난해 업계 최초로 프리미엄 브랜드 에스티로더를 입점시킨 데 이어 지난달 아르마니 뷰티를 추가로 유치했다. 또 고가 리프팅 기기 '리쥬란 리프리프'를 선보이며, 뷰티 소비력이 높은 3040세대 공략에 나섰다.

 

쿠팡 역시 지난해 말 프리미엄 뷰티 소비층을 겨냥한 별도 애플리케이션 '알럭스'를 출시하고, 에스티로더, 랑콤 등 기존 브랜드에 키엘·돌체앤가바나·조 말론 같은 유명 브랜드를 추가하며 고가 뷰티 시장 강화에 나섰다.

 

이날 김범석 쿠팡Inc 의장은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알럭스의) 다양한 상품군 확대로 이번 분기 9개 이상 카테고리에서 구매한 고객 수가 25% 이상 증가했다"며 "알럭스에 로켓배송 적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더 많은 고객에게 당일·새벽·익일 배송으로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컬리도 고가 뷰티 시장을 둘러싼 플랫폼 간 경쟁에 합류했다. 지난해 말 뷰티컬리는 시세이도그룹의 '끌레드뽀 보떼'를 모바일 라이브 방송 진행했다. 해당 제품은 앞서 CJ온스타일 방송에서도 소개된 바 있다. 이 외에도 에스티로더, 용카, 마르시끄 등 프리미엄 브랜드를 잇따라 유치했다.

 

업계 관계자는 "고물가에도 '슬로우에이징'과 '홈 에스테틱' 트렌드가 맞물려 급증하는 럭셔리 뷰티 브랜드 수요를 선점하려는 플랫폼 간 경쟁이 치열하다"며 "럭셔리 브랜드 입장에서도 백화점 외에 입점 가능 채널이 늘어나는 건 다양한 고객층 반응을 살펴보기 좋아 반가운 일일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