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한화운용 "'PLUS K방산' 순자산총액 한달 만에 6000억원 돌파"

/한화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은 'PLUS K방산'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총액이 6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달 12일 순자산총액 5000억원 돌파한 이후 약 한 달 만이다. 'PLUS K방산'의 기간별 수익률 성과는 최근 3개월 59.75%, 6개월 67.64%, 1년 116.47%, 연초 이후 73.48%, 상장 이후 247.32% 올랐다.

 

'PLUS K방산'의 꾸준한 자금 유입은 ETF 내 주요 편입 기업들의 실적 개선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은 2024년 4분기 방산 부문 해외 수출 영업이익률이 30~35% 수준을 기록하며 통상적인 제조업에서 보기 드문 높은 수치를 보였다.

 

유럽에서 시작된 약 8000유로(약 1200조원) 규모의 수요 역시 'K방산'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유럽발 수요는 트럼프·젤렌스키 회담 결렬 이후 발표된 'EU 재무장계획(ReArm Europe)'을 포함한 '유럽 자강론'에서 시작됐다.

 

아울러 최근 발표된 유럽의 재무장 로드맵이 담긴 '대비태세2030(Readiness 2030)'에는 범유럽 군사 장비 시장의 구축을 비롯해 역내 방위산업 육성, 다른 지역 파트너들과의 협력 등의 내용이 담겼다. 실제로 최근 덴마크 프레데릭센 총리가 방산 협력을 이어갈 유럽 밖의 파트너국으로 한국을 콕 집어 언급하는 등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을 대상으로 'K방산'의 수출 확대 기회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는 중동발 수주도 기대된다. 사우디아라비아와 UAE의 지상무기체계 교체시기가 임박한 상황에서 'K방산'의 중동 수출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K9자주포나 K2전차의 경우 기존에는 독일산 엔진과 파워팩을 사용하면서 수출 시 독일의 승인이 필요했지만, 엔진과 파워팩 국산화에 성공하면서 보다 수출에 용이한 환경이 마련됐다. 또한, 올해부터 양산이 시작될 LIG넥스원의 'L-SAM' 역시 중동에서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어 향후 수주가 기대된다.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전무는 "러·우 전쟁, 이스라엘과 중동 분쟁, 미중 패권경쟁의 격화로 이제 평화의 시대가 가고 갈등과 반목의 시대가 도래했다"며 "이는 '뉴노멀'이고 앞으로 최소한 10~20년 이상 지속될 상황이라는 점에서 방위산업에 대한 투자를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PLUS K방산' ETF에 연금자산과 같은 장기 자산으로 일정 비중을 투자하는 것을 제안한다"며 "특히 방위산업은 진입장벽이 매우 높아 전세계적으로 무기를 수출할 수 있는 국가는 제한적이며, 무기체계는 쉽게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유럽과 중동, 동남아를 넘어 선진국 시장으로까지 국가와 품목을 다변화하고 있는 'K방산'의 장기 성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