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해외주식Click] 믿었던 美 증시에 발등 찍힌 서학개미...전략은 '미워도 다시 한 번'?

테슬라·엔비디아 동반 폭락…서학개미 직격탄
레버리지 상품, 수익 대신 손실 부메랑 예상돼

ChatGPT에 의해 생성된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 관련 이미지.

미국 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흔들리면서 서학개미(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의 손실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서학개미들의 최선호 종목인 테슬라·엔비디아의 주가 급락이 직격탄이 됐고, 고위험 레버리지 상품 투자까지 더해지며 손실 폭이 확대된 영향이다.

 

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서학개미들이 보유한 미국 주식 상위 10개 종목의 총 보관금액은 74억9808만달러(약 11조400억원) 줄어들었다. 지난 3일 기준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보관금액 총액이 938억5325만달러(138조원)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전체의 약 8%에 해당하는 규모가 순식간에 사라진 셈이다.

 

이번 급락의 배경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 본격화가 자리하고 있다. 보호무역 기조가 재점화되며 미국 증시가 급락세를 보였고, 이에 따라 해외 주식에 공격적으로 투자해 온 서학개미들도 상당한 충격을 피하지 못했다. 특히 서학개미들이 높은 선호를 보이는 테슬라와 엔비디아의 보관금액은 2거래일 만에 28억8237만달러, 14억4579만달러 가량 증발했다. 한화로는 각각 4조2000억원, 2조1000억원 정도다.

 

서학개미들은 올해 테슬라(85억1932만달러), 엔비디아(47억458만달러), 팔란티어 테크놀로지(28억6865만달러)와 더불어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추종 ETF(60억3324만달러) 등 기술주를 집중적으로 순매수해 왔다. 하지만 지난 3일부터 4일까지 뉴욕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급락세를 보였다.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투자했던 테슬라와 엔비디아는 각각 15.32%, 14.59%씩 추락했으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16.74% 폭락했다.

 

특히 올해 서학개미들이 2·3번째로 가장 많이 사들인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와 '디렉시온 데일리테슬라 불 2X 셰어즈'는 각각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와 테슬라의 주가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이다. 레버리지 상품은 주가가 오를 때는 배의 수익을 얻게 되지만, 그만큼 하락장에서 손실 폭도 배로 높아지는 고위험 상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학개미들의 공격적인 투자 태도는 여전하다. 지난 2일부터 7일까지 서학개미들은 주가 폭락세를 보였던 엔비디아(7282만달러), 테슬라(2618만달러), 애플(2083만달러) 등의 기술 기업에 대한 순매수를 유지했다. 더불어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2억7086만달러)과 나스닥 지수를 2배 추종하는 '프로셰어즈 울트라'(8027만달러)를 순매수 상위 종목에 담았다. 서학개미들의 고위험 선호 성향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이 당분간 유지될 전망인 만큼 신중한 투자 태도가 당부되고 있다. 허진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관세 충격을 상쇄할 수 있는 통화·재정 정책의 대응 여력을 감안할 때, 최대 피해국은 아이러니하게도 미국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미국은 현재의 실효 관세율이 3~6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경기 침체 확률이 40% 이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