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소비자금융>상호금융

[M커버 스토리] 벼랑 끝 서민금융…상호금융, 역대급 적자

새마을금고·수협·신협 역대급 적자…서민 '버팀목' 흔들
부동산 시장 얼어붙자 PF 부작용…"연체율 솟고 건전성 뚝"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연체율 상승에 상호금융권의 수익이 크게 감소했다./뉴시스

새마을금고와 수협, 신협 등 상호금융사가 역대급 적자를 기록하면서 서민금융의 '버팀목'이 흔들리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연체율 상승으로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한 영향이다. 상호금융과 저축은행은 서민과 소상공인의 이용 비중이 높은 편이다.

 

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새마을금고 1276곳의 순손실은 1조7382억원 규모다. 연체율 관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연간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1조6000억원에 달했다. 대손충당금이란 금융회사가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쌓아 놓는 자금이다. 대손충당금이 증가한 것은 수익성과 건전성 모두 내리막길을 걸었다는 의미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평균 연체율은 6.81%다. 1년새 1.74%포인트(p) 상승했다. 총여신잔액은 연간 4조4000억원 줄어든 183조7000억원 규모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이 각각 2000억원, 4조2000억원씩 줄었다. 기업대출 대비 리테일(소매금융) 비중을 더 많이 줄인 셈이다.

 

새마을금고 뿐 아니라 신협과 수협도 순손실을 거뒀다. 지난해 신협의 손실액은 3419억원으로 적자 전환했으며 수협은 손실액은 2200억원 가량 증가한 2725억원이다. 새마을금고와 신협, 수협의 합산 손실액은 2조3526억원이다. 상호금융 출범 60년 역사상 가장 높은 수준의 적자를 기록했다. 원인은 부동산PF다. 업계에서는 지난 2021~2022년까지만 하더라도 건물만 올리면 분양에는 어려움이 없었다는 설명이다. 투자만 하면 원금과 이자를 회수할 수 있었던 것.

 

하지만 고금리 여파에 부동산 시장이 얼어 붙으면서 부동산 PF의 위험성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특히 대출금 100억원 이상의 대규모 부동산 PF는 상당수를 공동대출로 시행했다. 복수의 금고가 대출금을 출자한 셈이다. 상호금융권의 연체율이 기업을 중심으로 상승곡선을 그리면서 공동출자 상호금융의 부실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지난해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경공매 활성화를 위해 'PF 정보공개 플랫폼'을 출범했다. 지난달 기준 PF 사업장 385곳이 매각 대상에 올랐으며 이 중 상호금융사의 사업장은 153곳이다. 전체 사업장의 39.7%를 차지한다.

 

상호금융권 한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 활황기에는 공동대출이라고 하면 앞뒤 가리지 않고 달려들던 금고도 있다"라며 "지역 단위 협의회가 존재하다 보니 보수적인 금고라도 공동대출에서 빠지기 어려운 분위기다"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서민과 소상공인이 돈 빌릴 곳이 더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