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벚꽃배당 지면 배당락 우려...배당 필요성 '갑론을박'

'배당락' 주의령…투자자는 주가 낙폭 조심해야
"배당보다 성장 투자"…전문가들, 장기전략 강조

ChatGPT로 생성한 '배당주에 투자하는 개미(개인 투자자)들' 이미지.

 

 

3월 배당 시즌을 앞두고 높은 배당 수익률이 기대되는 종목에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하지만 배당락과 단기 매매로 인한 주가 변동성도 커지는 모습이다. 주주환원 정책 강화로 기업들의 배당이 확대되는 가운데, 일부 전문가들은 배당보다는 성장 투자에 집중해야 한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이달 26일까지 다우기술(19.53%), 한세예스24홀딩스(7.46%), 동국씨엠(12.86%), 광주신세계(3.44%) 등의 주가가 일제히 상승했다. 해당 종목들은 모두 이달 31일을 배당기준일로 두고 있으며, 높은 배당률이 기대됨에 따라 투심이 몰리고 있다.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기준일 2거래일 전까지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배당기준일 1거래일 전부터는 배당락 위험도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배당 액수만큼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지만, 배당금 회수를 노리고 단기 매매에 나서는 투자자도 늘어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지난달 27일 코스피는 44개 종목이 한번에 배당락일을 맞이하면서 지수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시가총액 10위 내 기업들이 대거 포함되면서 28일 지수 하락에도 영향을 미쳤다. 2월 28일을 배당기준일로 두고 있던 SK하이닉스(-4.52%) 현대차(-3.74%) 네이버(-5.48%) KB금융(-3.09%) 등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네이버는 2월 27일부터 28일까지 2거래일 동안 10.58% 하락하면서 과도한 낙폭을 보이기도 했다.

 

김대종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이러한 현상들은 시장이 해당 기업의 장기적 성장 가능성보다 단기적인 현금 배당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며 "배당을 실시할 시, 미래에 대한 투자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절대 좋은 정책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대표적으로 테슬라, 아마존 등이 배당보다는 미래 투자 방식으로 성공했다는 설명이다.

 

테슬라는 서학개미(미국주식에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의 최선호 종목으로, 배당보다는 기업의 모든 자금을 성장에 재투자한다. 주주에게 기업가치 상승으로 보답한다는 전략이다. 이 외에도 아마존,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 메타(페이스북) 등이 배당보다는 성장동력 확보에 주력한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하며 주주환원 확대를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고 있는 주주친화 정책은 배당 확대다. 한국경영학회에서는 일률적인 방식보다는 세제 혜택, 인수·합병(M&A) 유도 등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근 세미나에서 이종섭 서울대 교수는 "성장성이 각기 다른 산업과 기업에 대해 일률적인 배당 정책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며 "정보공시를 강화하는 한편 개인투자자가 보다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현명한 기관투자자를 육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최근 한국은행은 보고서를 통해 주주보호·주주환원 등을 확대시키는 것이 국내 기업가치 성장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단,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업종은 자본 투자가 더욱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의 평균 배당 성향은 27.2로 분석대상 국가 16개국(G20 중 일부 제외)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연구진은 "주주보호가 취약한 우리나라에서는 주주환원 확대가 기업가치 제고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며 "자본적 지출 확대를 통한 주주이익 성장과 기업가치 제고가 병행되는 구조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