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극한의 오프로드와 럭셔리 주행까지…렉서스,'디 올 뉴 LX 700h'각광

렉서스 LX700h 차량들이 물길을 달리고 있다./렉서스코리아

렉서스 대형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렉서스 LX700h가 주목을 받고 있다. 오프로드 및 온로드 성능과 렉서스다운 고급스러운 승차감을 결합했기 때문이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4세대 모델 '디 올 뉴 LX 700h(THE ALL-NEW LX 700h)'에는 새롭게 개발된 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개량된 GA-F 플랫폼이 도입됐다.

 

차체 사이즈는 전장 5092mm, 전폭 1988mm, 전고 1894mm, 휠베이스는 2849mm에 달한다. 렉서스 LX700h의 경쟁 모델은 ▲메르세데스-벤츠 GLS ▲BMW X7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스포츠 등이 꼽힌다.

 

LX700h는 배기량 3.5L V6 트윈터보 가솔린 엔진에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조합된다. 풀타임 사륜구동 시스템이 적용돼 온로드와 오프로드 등에서 안정적인 주행감을 갖춘 점이 강점이다. 10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됐고 최고출력은 457마력, 최대토크는 80.6kg.m의 강력한 파워를 발휘한다.

 

'디 올 뉴 LX 700h'의 권장 소비자 가격은 ▲4인승 VIP 1억9457만원 ▲5인승 오버트레일 1억6587만원 ▲7인승 럭셔리 1억6797만원이다

 

강대환 렉서스코리아 부사장은 "한국에서의 렉서스 전략은 고객의 삶의 일부를 디테일하게 케어해 줄 수 있는 럭셔리 브랜드가 되는 것"이라며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내구성과 신뢰성, 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전동화를 실현시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했다"고 말했다.

 

렉서스 요코오 타카미 치프 엔지니어가 발표를 하고 있다./이승용 기자

LX700h는 토요타 랜드크루저와 GA-F 플랫폼을 비롯한 기본 설계를 공유한 덕분에 수준 높은 오프로드 성능을 자랑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700mm 수준의 높은 도하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멀티 터레인 셀렉트(MTS)를 통해 도로 상황에 따라 AUTO, DIRT, SAND, MUD, DEEP SNOW, ROCK 등 6가지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능동형 차고 조절 서스펜션(AHC)를 통해서는 주행 환경에 따라 차고 높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해 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향상시켰다.

 

LX700h의 안전 경사각은 최대 44도, 최대 등판 성능은 45도로 급경사 구간에서도 차량이 안정감 있게 주행한다. 각도가 높아질수록 한쪽으로 쏠려 오일이 엔진에서 원활하게 윤할 되지 않지만 LX700h는 매끄럽게 주행이 가능하다.

 

'디퍼렌셜 락' 기능을 통해 험로에서도 최적의 구동력을 제공해 손쉽게 탈출할 수 있다. 유턴을 할 때도 '디퍼렌셜 락' 기능을 사용하게 될 경우 기존 2.5차로 소비에서0.5차 감소한 2차로 유턴이 가능하다.

 

하이브리드 메인 배터리에 새로운 방수 구조를 적용하는 등 다양한 최신 기술을 개발해 극한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성능을 구현했다.

 

렉서스 요코오 타카미 치프 엔지니어는 "배터리 부분에 방수 케이스가 따로 장착되어 있고 안에 수분 센서가 있어 물이나 습기가 있을 경우 센서를 통해 건조시키지 때문에 방전 가능성이 없다"며 "반대로 기온은 높은 곳에서는 실내에 있는 흡기덕트와 배기덕트를 통해 해 배터리를 냉각시킬 수도 있고, 리어에 에어컨도 있어 발열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온로드 뿐만 아니라 오프로드 주행에서 흔들림 없는 승차감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신기술을 도입했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