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경영

'팔순' 앞둔 대동그룹, 제주서 대규모 테마파크로 '승부수'

제주 애월 22만평 부지에 대형 식물정원, 키즈 카페, 호텔·콘도 등

 

지난해 1차 오픈후 54만명 찾아…195실 호텔·70실 콘도 내년 착공

 

제주대동 임예완 경영총괄 "그린바이오·푸드테크 전초기지 만들 것"

 

제주대동이 제주 애월에서 추진하고 있는 테마파크 조감도.

농기계 제조업이 모태인 대동그룹이 제주에서 미래 농업과 관광을 접목한 대규모 테마파크 개발을 통해 새로운 도전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이미 대형 식물정원, 키즈 파크, 카페 등을 열며 관광객들을 흡수하고 있는 가운데 호텔, 콘도 등 복합상업시설도 내년에 본격 착공한다.

 

스마트팜을 활용한 푸드테크 사업 확장을 위한 전초기지 역할도 한다.

 

이를 통해 연간 80만명이 찾는 '제주 1등 관광지'를 목표하는 계획도 세웠다.

 

16일 대동그룹에 따르면 자회사 제주대동이 개발하고 있는 애그테크밸리는 제주 애월 봉성리 일대 약 73만9000㎡(약 22만평) 부지에 자리잡고 있다. 제주의 대표적인 새별오름이 바로 옆에 있다.

 

대동은 지난 2013년 당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보유하고 있던 땅을 개발하는 사업에 공모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바 있다.

 

이후 자본금 500억원을 투입해 100% 자회사이면서 특수목적법인인 제주대동을 설립하고 일명 'Project ECO' 사업을 추진해왔다.

 

대동제주는 1단계 사업으로 지난해 5월 제주당 카페, 아르떼 키즈 파크를 개장했다.

 

아르떼 키즈 파크는 미디어 전시관 '아르떼뮤지엄'을 운영하고 있는 디스트릭트와 공동 투자해 국내 최초로 개관한 미디어 기반 실내 키즈파크 시설이다. 8만5000㎡(약 2만6000평) 공간에 농업을 테마로 한 식물정원 '그레이트필드'도 열어 발길을 유도하고 있다.

 

대동 관계자는 "국내 최초의 미디어 기반 실내 키즈 카페에만 21만명이 방문했고, 식물정원에는 개장 이후 33만명이 찾는 등 총 54만명의 관광객들 오면서 제주의 새로운 명소로 발돋움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주대동이 만들고 있는 '그린스케이프 관광단지'는 퍼블릭 존, 프라이빗 존, 스마트 존으로 나뉜다.

 

올해엔 ▲제주당 품질·서비스 수준 제고 ▲콜라보 팝업스토어 발굴 ▲5월 가정의달 이벤트 등을 통한 야외공간 명소화 ▲제주도내 1등 키즈파크 공고화 ▲렌터카, 주변 관광지 상호 할인등 제휴 마케팅 등을 적극 추진한다.

 

프라이빗 존 개발도 본격화한다. 여기에는 조선호텔앤리조트와 위탁경영계약을 맺고 추진하는 195실 규모의 호텔, 70실 규모의 콘도, 회원제 스파 등의 시설이 들어갈 예정이다. 올해 설계, 건축 허가 등을 거쳐 내년에 착공하는 것이 목표다.

 

제주대동 임예환 경영총괄은 "대동이 개발한 기능성 특화 작물을 대규모로 연구하는 스마트팜과 관련 시설도 함께 개발할 계획"이라며 "다양한 지역 기반 사업을 통해 제주도와 상생 모델을 구축하는 한편 제주대동을 대동의 미래사업인 그린바이오, 푸드테크의 전초기지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1947년 당시 경남 진주에서 대동공업으로 태동한 대동그룹은 대동기어, 대동금속, 대동모빌리티, 대동로보틱스 등을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하며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1조원 매출을 넘어서고 있다.

 

다만 지난해의 경우 1조4156억원의 매출로 전년(1조4334억원)보다 다소 주춤했다. 영업이익은 2023년 654억원에서 지난해 185억원으로 71.8% 하락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