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삼정KPMG, "키즈산업, 출생율 감소에도 프리미엄·테크로 성장"

골드키즈 시대, 키즈산업 트렌드는 ‘프리미엄·디지털·IP’

핑크퐁 아기상어: 노래와 수영 파티/더핑크퐁컴퍼니

급격한 출생아 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국내 키즈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5년 약 60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정KPMG는 10일 발간한 '저출생 시대 속 골드키즈가 이끄는 키즈산업' 보고서를 통해 키즈산업의 주요 트렌드로 ▲프리미엄화 ▲키즈테크(Kids Tech) ▲캐릭터IP(지식재산권) ▲글로벌 시장 진출을 꼽았다.

 

과거 유아용품, 교육, 완구 중심이던 키즈산업은 최근 헬스케어, 금융,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보고서는 특히 프리미엄화에 주목하며, 부모들의 양육 투자 증가에 따라 안전성·기능성·친환경 요소를 강조하는 고급화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알파세대와 MZ세대 부모들의 등장으로 키즈테크(Kids Tech)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교육·돌봄·금융 분야에서 기술 접목이 활발해지면서, 맞춤형 디지털 플랫폼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아울러, 키즈산업에서 '아이피코노미(IP+Economy)' 트렌드가 부상하며 캐릭터IP를 활용한 사업 확장이 활발하다. 대표적으로 SAMG엔터테인먼트(캐치!티니핑), 아이코닉스(뽀로로), 더핑크퐁컴퍼니(핑크퐁, 베베핀) 등이 글로벌 시장 진출과 라이선스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키즈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주요 비즈니스 트렌드/삼정KPMG

출산율 감소로 인해 키즈산업 기업들은 내수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외 진출을 적극 추진 중이다. 영유아 스킨케어 브랜드 '궁중비책'과 육아용품 전문 브랜드 '마더케이' 등은 이커머스 플랫폼을 활용해 글로벌 소비자들과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

 

김성규 삼정KPMG 파트너는 "최근 한국 소비재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해외 시장에서 K-유아용품의 가치 또한 주목받고 있다"며, "우수한 제품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호응을 얻고 있는 주요 유아용품 기업들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