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인천시, 인구·경제 ‘두 마리 토끼’ 잡았다…대도시 중 유일한 성장세

2025년 1월 대비 2월 지방자치단체 인구증감 현황./인천광역시

■ 주요 대도시 중 유일한 인구 증가…전국 최고 상승폭 기록

 

인천광역시가 대도시 중 유일하게 인구 증가를 기록하며 저출생 위기 속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5년 2월 기준 인천시 주민등록인구는 3,027,854명으로 전월 대비 4,205명이 증가했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으며, 최근 1년간 월별 증가 규모에서도 최대치를 보였다.

 

특히 0~4세 영유아 인구가 537명, 30~49세 경제활동 및 자녀 양육기 연령층이 1,282명 늘어나며, 인천시의 출산·육아 지원 정책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국적으로 인구 감소가 이어지는 가운데, 인천시는 2025년 2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24,704명의 인구가 증가했다. 이는 전국 7대 특·광역시 중 유일한 인구 증가세다. 같은 기간 서울(-5.2만 명), 부산(-2.7만 명), 대구(-0.9만 명) 등 다른 대도시는 인구 감소세를 보였다.

 

■ 출생아 수 11.6% 증가…전국 최고 상승률 기록

 

2024년 한 해 동안 인천시 출생아 수는 15,242명으로 전년 대비 11.6% 증가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2014년 이후 10년 만의 최대 증가폭으로, 최근 인구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인천시는 2021년 이후 단 한 번도 순이동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이 없으며, 2025년에도 전국 1위를 유지하며 인구 유입이 계속되고 있다. 인구 순유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은 인천이 시민이 살기 좋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 출산·육아 지원 정책 효과…'아이(i) 플러스 1억드림' 주목

 

인천시 아이(i) 시리즈 정책

인천시는 출생·육아 지원 확대뿐만 아니라 주거·교통 지원 정책을 적극 추진하며 젊은 세대의 인천 정착을 유도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도입된 '아이(i) 플러스 1억드림' 정책이 출산율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 정책은 ▲임산부 교통비 50만 원 지원 ▲1~7세 천사지원금(연 120만 원) ▲8~18세 아이(i)꿈수당(월 5~15만 원) 지급 등을 통해 출산과 육아의 부담을 줄였다.

 

최근 접수를 시작한 '천원주택'(하루 1,000원, 월 3만 원 임대료)으로 대표되는 '아이(i) 플러스 집드림', 출산부부 교통비 지원 정책인 '아이(i) 플러스 차비드림'도 젊은 층과 육아기 연령층의 인천 정착을 유도하는 핵심 정책으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미혼남녀의 만남과 결혼을 지원하는 '아이(i) 플러스 이어드림', '아이(i) 플러스 맺어드림' 정책도 추진될 예정이다.

 

■ 실질 경제성장률 전국 1위…대한민국 제2의 도시 도약

 

인천시는 인구 증가뿐만 아니라 경제 성장에서도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고 있다. 2023년 인천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117조 원으로, 서울에 이어 전국 2위를 기록했다.

 

특히 실질 경제성장률은 전국 평균(1.4%)을 크게 웃도는 4.8%를 기록하며 2년 연속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인구 증가와 맞물려 인천시가 대한민국 제2의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천시는 인구 증가에 따른 행정 여건 변화를 고려해 지역 발전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2군·8구 체제에서 2군·9구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는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개편안은 2026년 7월 1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인천시의 인구 증가는 인천형 출생정책을 비롯한 시민 체감형 정책의 성과이자 지속적인 혁신 노력의 결과물"이라며 "앞으로도 인천이 국가적 인구문제 해결의 중심이 되어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견인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