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트럼프發 반도체 제재…삼성·SK, 中 EDA 사용 중단 검토

트럼프, 대중 반도체 제재 강화…공급망 재편 수순
中 EDA 미국산보다 50% 저렴
업계 관계자 "비용 상승, 수익성 악화 불가피"

챗GPT로 생성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반도체 제재 강화로 선택의 기로에 서 있는 국내 반도체 업계의 모습'을 담은 AI 이미지.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반도체 제재 강화 기조가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경영 전략을 흔들고 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중국산 전자설계자동화(EDA) 소프트웨어 사용 중단을 검토하면서 공급망 재편이 가시화되고 있다.

 

5일 중국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eet-차이나'에 따르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중국산 반도체 EDA 소프트웨어 사용 중단 여부를 검토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상반기 내 중단을 고려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도 비슷한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

 

◆美 압박 강화… 설계 비용 상승 우려

 

EDA는 반도체 설계·검증에 필수적인 소프트웨어로, 칩 설계 시뮬레이션과 결과 예측을 담당한다. 특히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기술 고도화로 반도체 설계 환경이 더 복잡해지면서 EDA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글로벌 EDA 시장은 미국과 서구 기업이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인다. 지난해 기준, 미국의 시놉시스가 32%, 케이던스가 30%, 독일의 지멘스가 13%를 차지하며, 이들 3사가 시장의 약 75%를 장악하고 있다. 반면, 2023년 기준 중국 EDA 기업의 점유율은 12.7%로, 현재도 15% 미만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점유율 차이는 기술력에서 비롯됐다. 미국 기업들은 오랜 연구개발(R&D) 투자로 첨단 반도체 설계 기술을 구축했으나, 중국 기업들은 아직 기술 추격 단계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EDA는 미국산보다 50% 이상 저렴해 국내 기업들이 비용 절감과 기술 다변화를 위해 일부 설계 공정에서 활용해 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2022년부터 화대구천, 개륜전자 등 중국산 EDA 소프트웨어를 일부 채택해 왔다. 삼성전자의 자료에 따르면, 주요 EDA 공급업체 6곳 중 2곳이 중국 기업이며, 개륜전자를 포함하면 7곳 중 3곳이 중국 기업이다.

 

그러나 지난해 말 미국 정부가 화대구천의 한국 자회사를 수출 통제 대상인 '엔티티 리스트'에 포함하면서 중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견제를 강화했다. SK하이닉스는 미국 '반도체법(Chips Act)'에 따라 인디애나주 공장 건설을 위한 수억 달러의 보조금을 받아 미국의 기술 통제 정책을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중국산 EDA 사용 중단이 곧바로 생산 차질로 이어지진 않겠지만, 설계 비용 상승으로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미국산 EDA의 독점적 지위가 유지되면 국내 반도체 기업의 가격 협상력이 약화할 가능성이 크다"라면서 "공급망이 미국으로 일원화되면 설계 비용 부담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韓 EDA 기술력 부족… 독자적 생태계 구축 시급

 

현재 한국의 EDA 시장 점유율은 사실상 0%에 가깝다.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 간 기술 패권 경쟁에 따라 수동적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다.

 

특히 국내 우수 인재들이 해외로 유출되는 상황에서 설계 소프트웨어 분야의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업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독립적인 전략을 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설계 비용 상승 부담을 감수하고서라도 미국 규제를 따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장기적으로는 한국 반도체 산업이 EDA 분야에서도 자체 기술력을 확보해야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