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딥시크 못 쓰게 하자...챗GPT 이용자 증가

딥시크 메인 화면./ 딥시크 홈페이지 캡처

국내 딥시크 앱 서비스 중단 조치로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인 챗GPT의 국내 사용자가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23일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이달 챗GPT의 모바일 주간 활성 이용자(WAU)가 200만명을 돌파했다. 올 2월 첫째주(3~9일)에 202만5546명으로 사상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긴 데 이어 이달 둘째주(10~16일)에는 209만2797명을 기록했다.

 

챗GPT는 작년 연말과 올해 연초 주간 이용자를 150만여명으로 유지해오다가 중국의 생성형 AI 서비스 딥시크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1월 마지막주(1월27일~2월2일) 주간 이용자가 180만4499명으로 크게 늘었다.

 

딥시크에 이용자 파이를 빼앗길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 달리 중국의 생성형 AI 서비스와 사용자 범위 확대라는 공동의 시너지를 창출한 것이다.

 

이후 딥시크는 국내 사용자 120여만명의 개인 정보를 '틱톡' 서비스의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에 넘긴 사실이 확인돼 국내 앱 서비스가 중단됐고, 챗GPT는 한국 시장의 생성형 AI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빨아들이면서 반사 이익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챗GPT의 일간 사용자는 딥시크 앱 다운로드 금지 전날인 지난 16일 76만766명에서 서비스 중단 당일인 17일 82만9459명으로 9.03% 늘었고, 그 다음날인 18일에도 85만5979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딥시크 일일 활성 사용자(DAU)는 지난 18일 기준 3만966명으로, 최대치를 찍었던 올 1월28일 19만1556명과 비교해 83.83% 급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