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계엄사태 여파로 '밸류업 ETF'도 난항...보수 인하에도 자금 유출

19일 기준 밸류업 상장지수펀드(ETF) 현황. /코스콤 ETF 체크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부 주도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동력을 잃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밸류업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 총액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저보수'를 내세웠던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자금이 대거 유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19일 코스콤 ETF 체크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간(12월 12~18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밸류업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인 'TIGER 코리아밸류업' ETF에서 약 1533억원 가량의 자금이 유출됐다. 이외에도 신한자산운용의 'SOL코리아밸류업TR'에서 10억원 가량의 자금이 빠졌지만, 미래에셋자산운용과의 차이는 상당하다.

 

앞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최저 수수료(0.008%) 전략을 펼치며 투자자를 유입했다. 실제로 11월 4일 상장 당일 TIGER 코리아밸류업의 순자산 총액은 2040억원으로 12개의 코리아 밸류업 ETF 중 가장 높았다. 계엄 사태 직전이었던 12월 3일까지도 3129억원까지 상승하면서 밸류업 ETF 1위를 유지했다. 하지만 이후 4일부터 연속 하락세를 보이면서 18일 기준 1233억원으로 급락했다. 약 2주간 순자산이 60.59%나 빠진 셈이다.

 

다만 밸류업 ETF 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던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코리아밸류업' ETF는 상대적으로 타격이 덜했다. 오히려 상장 당일이었던 11월 4일 1130억원에서 18일 2017억원으로 올라섰다. 상장 첫날 삼성자산운용도 낮은 금액으로 접근하기 위해 보수를 기존 0.09%에서 0.0099%로 인하했지만 미래에셋자산운용보다는 높은 금액이었다. 하지만 지난 13일 'KODEX 코리아밸류업' ETF의 총보수를 미래에셋자산운용과 동일하게 0.008%로 인하면서 업계 최저 수준으로 내렸다.

 

밸류업 ETF의 선두가 바뀐 것도 13일이다. 이날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코리아밸류업' ETF의 순자산 총액은 전날 2005억원에서 1799억원으로 감소했고,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코리아밸류업' ETF는 1996억원에서 2005억원으로 증가했다.

 

임태혁 삼성운용 ETF운용본부장 상무는 "KODEX 코리아밸류업 ETF는 정통 패시브 상품에 맞게 기초지수와 연동된 안정적인 운용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며 "풍부한 유동성을 보유한 만큼 이번에 업계 최저 수준인 0.008%로 총보수를 인하한 효과가 코리아밸류업에 관심있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최근 1개월(약 2~4주) 대비로는 대부분의 밸류업 ETF에서 자금이 유출됐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이후 윤 정부가 연초부터 주도해 왔던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진 탓으로 해석된다. 국내 증시에 상장한 12개 밸류업 ETF의 순자산 총합은 지난 3일 약 7680억원에서 18일 기준 약 5043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코리아 밸류업 지수'도 12·3 계엄 사태 이후 현재까지 2.55% 떨어졌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윤 대통령의 직무 정지로 밸류업이 동력을 잃고, 밸류업 종목에 대한 투심도 하락했다"며 "밸류업 ETF에서도 투자자들 이탈 현상이 일어나고 있고, 밸류업 ETF를 출시한 운용사들에게는 부담이 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