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패션

SPA 브랜드 중심으로 패션 소비 시장 양분...차이 더 뚜렷

대표적인 스파 브랜드인 스파오 '푸퍼랜드' 성수 팝업스토어 전경 사진. 2030 세대 중심으로 오픈런이 이어 지고 있는 모습이다. / 이랜드

패션 시장에서 소비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백화점 브랜드와 실속형 저가 의류 상품을 제공하는 SPA 브랜드가 패션 시장을 양분하는 가운데, 2030 세대를 중심으로 SPA 브랜드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가성비를 내세운 SPA 브랜드들의 매출이 2030 세대의 소비를 중심으로 증가하면서, 패션 시장에서 겨울철 특수를 누리는 주요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실제 패션 온라인 플랫폼 에이블리에 따르면, 지난 11월 1월부터 25일까지 SPA 브랜드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했다.

 

특히,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진 시점인 지난달 18일~24일 사이 에이블리 SPA 브랜드 거래액이 같은 기간 298% 급증했다.

 

SPA 브랜드 별 매출 증가율을 살펴봐도 성장세는 도드라진다. 대표적인 SPA 브랜드인 스파오의 매출은 올해 1월부터 지난 11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탑텐 역시 같은 기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SPA 브랜드의 성장을 이끈 것은 2030세대다. 무신사 스탠다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무신사 스탠다드의 전국 오프라인 매장의 연간 누적 방문객이 1028만명에 달했다. 이 중 2030 세대가 70%를 차지했다는 게 무신사 스탠다드 측 설명이다.

 

이 같은 SPA 브랜드의 성장으로 패션 소비 시장 양분화가 더 뚜렷해지고 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패션 소비 시장 양극화는 이미 진행되고 있었지만, 앞으로 SPA 브랜드들의 성장은 가성비 소비를 중시하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더 가속화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SPA 브랜드라고 해서 품질이 나쁜 게 아니다. 저렴한 가격에 품질까지 괜찮으니 애매한 중고가 브랜드들의 소비가 SPA 브랜드 쪽으로 빠져 양극화가 심화될 수 있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패션 시장 양극화는 단순 가격 요인에만 따른 것은 아니라는 시각도 나온다. 가격만이 아닌 세대를 중심으로 선호 차이가 생기면서 패션 시장 양극화가 생성되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50대 여성 소비자 김 모 씨는 "저가 스파 브랜드 매장은 저렴하고 아니고를 떠나서, 중년들이 입을 수 있는 스타일이 많이 없어 가지 않는다"며 "그런 매장은 '젊은 애들 옷 파는 곳'이라는 인상이 강하다"고 말했다.

 

이어 "아무래도 중년층이 입을 만한 옷은 백화점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어 백화점 상품을 위주로 소비를 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롯데홈쇼핑에 따르면 최근 롯데백화점 상품을 선보이는 라이브커머스 '엘라이브'에서 4050 여성 주문 건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0% 이상 증가했다. 특히 그중에서도 의류가 4050 여성의 주문 건수 1위를 차지했다.

 

이에 롯데홈쇼핑은 4050 세대들의 니즈를 반영한 패션, 뷰티 상품을 확대하고, 현장 라이브방송 등 이색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롯데홈쇼핑 이정배 엘라이브팀장은 "2030세대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졌던 라방을 이용하는 4050 고객이 급증하고 있다"며 "이들의 라방 이용 패턴을 반영한 상품 편성을 확대하고, 현장 라이브 등 이색 콘텐츠를 지속 선보이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