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유통업계, 성장 위해 새로운 판 키우나..."콘텐츠 자회사 투자하고, 바이오 제약사 투자하고"

신세계 강남점 사진 / 신세계

고금리·고물가의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자, 주요 유통업체들이 위기탈출 해법으로 새로운 먹거리 사업 투자를 이어간다.

 

11일 신세계 공시에 따르면, 신세계는 콘텐츠 자회사 마인드마크에 유상증자를 통해 100억원을 출자한다고 밝혔다. 유상증자는 재원이 필요한 회사가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여 이를 외부 투자자나 기존 주주들에게 매각해 자본금을 늘리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마인드마크는 유상증자를 통해 보통주 20만주를 발행할 예정이다. 신세계는 오는 13일 100억원을 출자해 유상증자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로써 신세계가 마인드마크에 출자하는 총금액은 760억원에 달하게 된다.

 

마인드마크는 콘텐츠 회사로 영화, 방송,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및 유통을 주 사업으로 하고 있다. 신세계그룹 100% 자회사이며 지난 2020년 4월에 설립됐다.

 

마인드마크의 실적은 좋지 않은 상황이지만 신세계는 꾸준히 마인드마크에 대한 출자를 이어왔다. 마인드마크는 지난 2022년 영업손실 24억원, 2023년 영업손실 35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폭을 넓혀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인드마크 유상증자에 대한 신세계 출자는 이번만 다섯 번째다. 신세계는 지난 2020년 마인드마크를 자회사로 설립함과 동시에 260억을 출자하고 이어 1년 뒤 100억원 추가로 출자했다. 이어 2022년 6월에 200억원을, 지난 2024년 7월에 100억원을 또다시 출자했다.

 

그리고 이달, 약 5개월 만에 또 다시 유상증자에 대한 출자 형태로 100억원 투자를 진행하면서 신세계는 올 한 해에만 마인드마크에 두 차례 총 200억원의 자금을 지원하게 됐다.

 

신세계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콘텐츠 자체에 역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처럼 지속적인 투자를 단행하는 것이라는 업계 분석이 나온다.

 

신세계 관계자는 "콘텐츠 사업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해 이번 추가 출자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롯데는 새로운 성장 발판 마련으로 미국 제약 기업 투자에 나선다. 롯데홀딩스는 지난 8월 대기업벤처캐피탈(CVC)을 설립하고, 4개월 만에 미국 면역조절제 개발사 '누빅 테라퓨딕스'을 대상으로 약 2300억원 상당의 시리즈B 투자에 나선다. 시리즈B 투자는 스타트업의 자금 조달 단계 중 두 번째 주요 투자 라운드를 의미하며, 이는 주로 초기 투자인 시리즈A 투자 이후에 이뤄진다.

 

업계에 따르면, 이는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이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헬스케어와 바이오를 찍은 데 따른 행보로 풀이된다. 실제 신동빈 회장은 지난 2022년 3월 헬스케어와 바이오를 그룹의 미래 성장 동력 분야로 지정하고, 관련 사업 추진에 본격적으로 나선 바 있다.

 

현대백화점은 스타트업에 대한 지속적 투자로 성장 동력을 확보한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2021년 천연 소가죽 소재 커스터마이징 액세서리를 제작하는 스타트업 '스마트앤레더'에 20억원을 투자했다.

 

이어 2022년에는 스타트업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인 '체인지엑스'를 진행, 2023년부터는 인공지능(AI) 중심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및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딥테크 동반성장 생태계' 구축에 본격 나서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제는 그룹사 차원에서도 성장 가능성이 있는 분야, 성장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발굴해 투자하는 게 중요하다"며 "어디서 성장의 기회가 찾아올지 모르니, 선구안을 갖고 가능성이 있는 곳을 찾아 투자하는 게 기업들의 새로운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