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CEO 인사 시즌 다가온 증권가, 실적 양극화에 운명 갈린다

서울 여의도 전경. /손진영기자 son@

이달부터 내년 3월까지 주요 증권사 최고경영자(CEO)들의 임기 만료가 대거 예정됐다. 올해 국내 주식시장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증권사별 양극화 현상이 깊어졌던 만큼 실적에 따라 연임 가능성이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달부터 내년 3월 주주총회 시즌까지 약 11개 증권사의 대표들의 임기가 만료된다. 올해 12월 임기 만료를 앞둔 증권사 대표는 KB증권의 김성현, 이홍구 각자대표와 강성묵 하나증권 대표다.

 

다만 KB증권은 지난 6일 계열사 대표이사 후보추천위원회(대추위)를 열고 두 대표이사를 재추천했다고 알렸다. 김 대표는 5연임, 이 대표는 연임에 성공한 것이다. 앞서 양종희 KB금융 회장이 인적 쇄신을 예고하면서 세대교체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으나, KB증권이 올해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대표들도 자리를 지킨 것으로 보인다. KB증권은 올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 7355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20.3% 성장했다.

 

강성묵 하나증권 대표도 연임이 유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 대표는 지난해 1월 취임했는데, 지난해 적자를 딛고 올해 3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누적 영업이익은 1957억원, 순이익은 1818억원을 기록했다.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대표이사도 취임 첫해에 '1조클럽'을 달성하면서 연임에 청신호가 켜졌다. 한투증권은 올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1조원을 넘겼으며, 아직까지 유일한 2024년 '1조클럽' 증권사다. 더불어 '1조클럽' 재입성을 위해 바짝 추격하고 있는 미래에셋증권의 김미섭, 허선호 대표도 재연임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의 올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9145억원이다.

 

서학개미(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의 증가로 해외 증권거래 대금이 늘어나면서 증권사들의 실적이 선방한 결과다. 하지만 대형 증권사와 중소형사의 양극화가 심화된 만큼 대표이사들의 거취에도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내년 3월 말 임기가 만료되는 김원규 LS증권 사장은 2019년 취임 당시 '자기자본 1조원'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수장을 맡았던 첫해부터 3년간은 실적을 성장시키며 2018년 말 4042억원이었던 자기자본 규모를 2021년 말 9286억원으로 급증시켰다. 다만 2022년 말부터는 감소세로 돌아선 점이 리스크로 꼽힌다. LS증권의 자기자본은 2022년 말 9196억원에서, 2023년 말 9355억원으로 줄어들었고 올해 3분기에는 8817억원으로 밀려났다.

 

이 외에도 3분기에 영업손실을 기록한 전우종·정준호 SK증권 대표도 세대교체가 언급되고 있다. 반면, 올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1556억원)이 전년 동기보다 145% 증가한 교보증권은 이석기 대표의 연임이 예상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올해 대형사들은 리테일 부문에서도 성과를 보이면서 안정적인 실적 성장세를 보였지만, 중소형사들은 오히려 먹거리를 잃고 있는 상황"이라며 "CEO 연임 여부가 대부분 실적에서 판가름나는 만큼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형사 중에서도 연임에 실패한 사례가 존재한다. 최근 김상태 신한투자증권 대표는 지난 8월 초부터 10월 사이 상장지수펀드(ETF) 유동성공급(LP) 부서에서 발생한 약 1300억원 규모의 운용 손실을 책임지고 사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신한금융지주 자회사 최고경영진 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5일 회의를 열고 사장 후보로 이선훈 신한투자증권 부사장을 추천한 상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