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코스피, 11월 한파에 '연말 랠리' 기대감 하락...美 증시는 5% 이상 상승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하락 마감한 29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뉴시스

지난달 코스피가 약 4% 하락한 것과 상반되게 뉴욕 3대 지수들은 5%대 이상 상승세를 보이면서 희비가 엇갈렸다. 통상적으로 12월에는 '산타랠리', '연말랠리'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투자심리가 회복되는 편이지만 국내 증시는 연말 이벤트에서 소외된 모습이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코스피는 3.92% 하락했다. 반면, 뉴욕 주요 지수들은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면서 상반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 거래일이었던 11월 29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44910.65,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6032.38에 마감하면서 종가 기준 최고치를 달성했다. 두 지수는 11월에 각각 7.53%, 5.73%씩 상승했다. 나스닥 지수 역시 11월 한 달 동안에만 6.20%의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펼쳐졌던 미국 증시 내 상승 랠리가 12월에는 산타 랠리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자극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국내 증시는 '트럼프 리스크'에 시달리면서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주식시장의 연말 랠리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한다"며 "12월 국내 주식시장의 수익률을 결정하는 건 리밸런싱 수급이 아니라 한국 경기의 방향성"이라고 설명했다.

 

한화투자증권 투자전략팀에 따르면 12월 한 달 동안 코스피가 오른 경우는 2016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3년 등 다섯 번이다. 이 중 네 번은 연중 오르다가 연말까지 상승세가 이어졌고, 2021년은 11월까지 연중 수익률이 -1.2%로 하락폭이 크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올해 11월까지 코스피의 연중 수익률은 -7.5% 수준으로 매우 낮다.

 

박 연구원은 "한국 경기가 내년 2분기경 저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경기가 착륙하기까지 2025년 국내 기업들의 실적 전망도 하향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2018부터 2019년과 2022년에서 2023년, 앞선 두 번의 하락 사이클에서 코스피의 영업이익률 컨센서스(시장 전망치 평균)는 6%까지 하향 조정됐다는 부연이다. 지난 두 번의 경우처럼 6%까지 하향될 가능성은 낮지만, 내년 컨센서스가 8% 언저리까지 낮아질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지난달 29일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도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비중 확대'에서 '중립'으로 하향했다. 상장 기업들의 실적 부진과 글로벌 변수 등이 코스피 상단을 제한하고 있는 흐름이 지속됐기 때문이다. 골드만삭스는 '아시아 태평양 포트폴리오 전략'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내년 거시 경제가 달러 강세와 관세의 불확실성 등으로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의 수출과 산업생산 성장 속도가 줄어들면서 경제성장률 둔화가 전망된다"고 짚었다.

 

다만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보고서는 "밸류업 프로그램의 맥락에서 주주 제안이 보다 적극적으로 일어나고 있고, 이러한 상황은 한국 주식의 재평가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며 "도전적인 거시 경제 환경에도 밸류업 프로그램과 기업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당국의 높은 인식으로 일반 주주를 위한 주식시장 환경은 계속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