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이번역은 올리브영 역입니다'…K-뷰티 인기에 유통플랫폼도 공세 강화

'올리브영N 성수' 오픈을 앞두고 팩토리얼 성수 빌딩 외부에 디자인 가림막이 설치된 모습./CJ올리브영

'K 화장품'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자 화장품업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컬리, 무신사, 올리브영 등 유통업체들도 화장품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뷰티플랫폼 강자인 CJ올리브영이 지위를 굳히기 위해 기존에 없던 전략을 발표하자 업계 이목이 쏠린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내달 22일 CJ올리브영이 역 이름까지 사들이며 공들인 혁신매장 1호점 '올리브영N 성수'를 오픈한다. 서울 핫플로 자리잡은 성수를 통해 MZ세대는 물론, 나아가 외국인 관광객들까지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앞서 지난 8월 CJ올리브영은 낙찰가 10억원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에 자사 이름을 같이 표기할 수 있는 권리를 사들였다.

 

올리브영N 성수는 기존 올리브영 매장에서 경험할 수 없는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안하는 1호 혁신 매장이다. 성수역 4번 출구 인근 팩토리얼 성수 빌딩에 총 5층 규모로 조성되는 이곳은 기존 올리브영 매장 중 가장 넓은 명동타운점보다 큰 점포가 될 전망이다.

 

매장 1층은 상품 판매가 아닌 체험에 초점을 맞춘 공간으로 조성된다. 팝업 전용 공간부터 오직 올리브영N 성수에서만 만날 수 있는 소품을 판매하는 '올리브영 브랜딩 굿즈샵'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2~3층은 자체 선별한 '뷰티&헬스' 카테고리 상품을 파는 공간으로 공개된다. 4~5층은 올리브영 멤버스 고객을 위한 라운지와 입점 협력사와의 협력을 도모하는 네트워킹 공간으로 선보인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새 매장은 층별로 특화된 고객 가치를 제공한다"며 "K뷰티 미래 청사진을 보여주는 매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컬리 뷰티 페스타 대표이미지/컬리

최근 무신사와 컬리는 오프라인으로 대규모 뷰티 페스타를 개최한 바 있다. 오프라인 행사를 통해 신규 고객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컬리는 이달 10~12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첫 오프라인 뷰티 행사 '컬리뷰티페스타 2024'를 진행해 성황리에 마쳤다. 행사에 참여한 파트너사들의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4배 상승했다. 일평균 '컬리몰' 방문자는 5배 이상 늘었다. 첫 이용 고객 비중도 20% 가량 차지하면서 신규고객 확보라는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한 것으로 보여진다.

 

'컬리뷰티페스타 2024'. /컬리

컬리뷰티페스타 이노베이션관에 참여한 브랜드는 행사 기간 전체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6.6배 늘었다. 특히 비건 뷰티 브랜드 '달바'와 프랑스 클린 뷰티 브랜드 '라로제' 거래액은 동기간 200배 가량 급증했다.

 

무신사는 패션과 뷰티를 접목시키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무신사는 지난 9월 3주간 온오프라인에서 진행한 '무신사 뷰티 페스타'를 성황리에 마치며 신진 뷰티 브랜드의 매출 신장 성과를 거뒀다. /무신사

2021년 '무신사 뷰티'를 선보이고 PB브랜드인 '오드타입'을 출시하는 등 뷰티사업을 키우고 있다. 지난 8월 6~8일에는 서울 성수동 일대에서 대규모 오프라인 뷰티 페스타를 개최했다.

 

3일간 방문객만 총 1만8000여명에 달했다. 또 행사 기간 오프라인 팝업에 참여한 41개 브랜드의 평균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7.2배 상승한 바 있다.

 

또 신규 구매자 수도 지난해 동기 대비 4.2배 급증했다.

 

행사 전후 약 3주 동안 진행한 온·오프라인 무신사 뷰티 페스타의 경우 뷰티 카테고리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5.8배 증가했다. 무신사 스토어 전체 구매자 중 뷰티 브랜드 상품을 구매한 고객 비율은 21.8%에 달했다.

 

업계 관계자는 "뷰티업계가 자리를 굳건히 지키기 위해 제각각의 색에 맞게 전략을 꾀하고 있다. 건강한 뷰티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신진 브랜드 성장 지원과 고객들의 온라인 오프라인 경험을 확대하기 위해 다각도로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고 업계 분위기를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