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LCC업계 경쟁↑…코로나19로 폐업했던 항공사 재개장 준비

국내 주요 저비용 항공사 항공기 모습. /뉴시스

코로나19 시기 경영난으로 문을 닫았던 저비용항공(LCC)사가 속속 재개장하고 있지만, 항공업계 경쟁이 치열해 업계에 재진입해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경영난으로 문을 닫았던 LCC들이 복귀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플라이강원은 소형 가전 전문회사 위닉스가 인수해 '파라타항공'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재운항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 소형항공사인 하이에어·코리아 익스프레스 에어도 컨소시엄이나 법원 회생절차를 밟고 있다.

 

항공업계가 빠르게 기단을 늘려나가는 가운데, 코로나19로 억눌렸던 항공 수요가 제자리를 찾아가면서 공급 과잉과 치열한 LCC 업계 경쟁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항공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국제선 기준 대형항공사(FSC)가 약 1716만석을 공급했고, 저비용항공사가 1700만석을 공급했다. LCC 항공사가 늘어나면서 저비용항공사가 공급하는 좌석 수가 FSC와 비슷한 수준까지 도달한 것이다.

 

현재 LCC 업계는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이스타항공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 총 8개 항공사가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2024년 상반기 LCC는 국제선 약 1700만석을 공급했으나, 이용객은 약 1500만명 수준으로 공급석이 이용객을 웃돈다.

 

LCC 업계 맏형 제주항공이 약 483만석을 공급했고, 티웨이항공이 뒤이어 350만석, 진에어가 346만석씩을 공급했다.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은 각각 246만석·100만석을 공급했다. 이스타항공과 에어로케이도 기단을 늘리고 있어 LCC의 좌석 공급량은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이지만, 충분한 수요가 따라올지 미지수다.

 

LCC 업계의 가격경쟁 또한 치열하다. 항공정보시스템 보고서에 의하면 주요 항공사의 노선별 운임 단가는 대략 ▲일본 17만원 ▲중국 16만원 ▲동남아 28만원 ▲미주 108만원이다. 하지만 각 항공사는 성수기나 신규 취항에 맞춰 큰 폭의 할인 항공권을 판매하고 있다. LCC간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일부 이벤트에서는 90% 이상의 할인 항공권이 나오기도 한다.

 

재진입하는 LCC는 이와 같은 상황을 이겨내야 한다. 또한 주요 항공사의 인수합병이라는 악재도 예상된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으로 통합 LCC 출범을 앞두고 있어,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대형 LCC가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양사의 LCC 계열사인 ▲진에어(대한항공 계열사) ▲에어부산·에어서울(아시아나 계열사)이 합병될 경우 보유 항공기 수가 56대로 늘어난다. 현재 LCC 업계 1위인 제주항공의 41대를 웃도는 규모다.

 

대규모 기단을 앞세운 LCC에서 규모의 경제를 앞세우면 소형항공사는 가격 경쟁력이나 노선 다양성 측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 2대 주주로 대명소노그룹이 나서면서 두 항공사를 모두 인수해 합병할 수 있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에어프레미아는 미주와 유럽 등 장거리 노선에 특화된 항공사이며, 티웨이항공 또한 2024년 하반기 유럽 노선에 본격 취항하며 장거리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수익성 좋은 장거리 노선도 재진입하는 항공사가 뛰어들기 어려운 상황이다.

 

LCC 업계 관계자는 "LCC 업체 수가 많아 경쟁이 치열하다"며 "노선 다각화뿐만 아니라 수입 다각화를 위해 여객 외 여러 사업을 시도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