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케이뱅크, 또 다시 IPO 연기…“상장 철회 아냐, 내년 초 재추진”

수요예측 부진에 상장 계획 연기
국감에서도 ‘건전성 문제’ 지적
이복현 금감원장 "투자자 보호 면밀히 검토"

image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이 1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업공개(IPO)기자간담회에서 상장 이후 사업 계획과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 손진영 기자 

기업공개(IPO) 재도전장을 내밀었던 케이뱅크가 상장 계획을 미뤘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이달 30일 목표로 추진하던 코스피 상장 계획을 연기한다. 지난 10일부터 16일까지 진행된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에서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면서다.

 

케이뱅크의 기존 공모가 희망 범위는 9500~1만2000원(총 8200만주 공모 예정)이었지만  기관들이 밴드의 하단 가격을 제시했고, 일부는 하단보다 더 아래의 가격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관사인 NH투자증권과 KB증권 등이 희망 공모가 희망 범위의 하단 아래인 8500원으로 설정하는 안을 요청하기도 했다. 만약 최종 공모가를 8500원으로 확정하면 공모액은 7790억~9840억원에서 5576억원으로 감소한다. 

 

수요예측 전부터 '5조원'에 달하는 케이뱅크 몸값이 고평가됐다는 논란은 꾸준히 제기됐었다. 지난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감독원 대상 국정감사에서도 케이뱅크가 '업비트'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날 이강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케이뱅크의 지분율 중 업비트가 차지하는 부분이 20%에 달한다"고 우려했다. '지분율'은 케이뱅크 고객 예수금에서 차지하는 업비트의 비중으로, 올해 반기 기준 21조원 상당의 케이뱅크 고객 예수금 중 4조원가량을 업비트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이어 이 의원은 "상황이 이런데도 케이뱅크는 내년 10월 계약 만료를 대비해 업비트만을 위한 스페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며 "업비트 없이 케이뱅크가 독자생존이 가능한지 의구심이 든다"고 질타했다.

 

이와 관련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기업공개 과정에서 투자자 보호 이슈나 은행의 건전성 등이 중요한데 다 잘 챙겨보겠다”고 답하기도 했다.

 

다만 케이뱅크는 "상장 철회가 아닌 연기"라고 강조하며, 내년 초 다시 상장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케이뱅크 측은 "상장 과정에서 투자설명회와 간담회를 통해 기관투자자들의 케이뱅크에 대한 높은 관심과 기대를 확인했다"면서도 "수요예측 결과 총 공모주식이 8200만주에 달하는 현재 공모구조로는 성공적인 상장을 위한 충분한 투자 수요를 끌어 내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상장을 연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