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패션

남성 정장 시장, 맞춤형 서비스와 함께 새로운 부흥기 맞나

랄프 로렌 퍼플 라벨 2024 폴 컬렉션 상품 사진 / 랄프로렌

남성 정장 시장이 재조명되고 있다. 개인의 취향에 맞게 테일러링 서비스(맞춤 수선)를 제공하는 고급 브랜드들이 매출 상승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프리미엄 남성 정장 브랜드들의 수요가 다시 늘고 있는 추세다.

 

과거 정장 시장은 코로나19 시기를 겪으며 수요가 줄면서 침체기를 겪었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 따르면 남성 정장 시장은 2015년 4조2013억원을 달성하며 성장을 보이다 2020년 코로나19 영향으로 3조8810억원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프리미엄 남성 정장 시장을 중심으로 올해 상반기부터 수요 상승 효과가 보인다는 게 업계 측 분석이다. 실제 갤러리아 백화점은 갤러리아명품관에 입점한 남성 클래식 정장 브랜드들이 올해 초부터 5월 말까지 12% 성장했다고 밝혔다. LF 역시 남성 브랜드 '알레그리'의 2024년 가을 겨울 시즌 수트 매출이 전년 대비 40% 성장했다고 전했다.

 

프리미엄 남성 정장 시장이 성장하게 된 배경으로, 개성과 취향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맞춤형 소비 경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프리미엄 정장 브랜드들은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남성 정장을 선보이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 랄프로렌은 이탈리아 공방에서 오직 한 사람만을 위한 정장을 제작할 수 있는 반맞춤형 서비스(MTM)를 운영한다. 반맞춤형 서비스는 기본적인 디자인과 패턴이 이미 제작돼 있고, 이를 고객 신체 치수에 맞게 조정해 다시 새롭게 제작하는 방식이다.

 

LF의 남성 브랜드 '알레그리' 역시 지난달 MTM 서비스를 새롭게 도입했다. 알레그리의 MTM 서비스는 서비스 신청 후 약 2주 정도 소요된다.

 

MTM 서비스 론칭 배경에 대해 알레그리 관계자는 "특유의 고급스러운 원단과 세련된 핏으로 탄탄한 팬덤을 보유하고 있는 알레그리의 수트 수요가 꾸준히 늘어남에 따라 더욱 만족도 높은 수트 경험을 위해 MTM 방식을 선보이게 됐다"고 전했다.

 

한편, 유럽 브랜드인 벨루티는 비스포크 테일러링 서비스를 통해 제품을 선보인다. 비스포크는 완전 맞춤형 제작을 의미하는 용어로, 고객의 요청에 따라 처음부터 끝까지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정장이 개별적으로 제작된다는 점에서 MTM 서비스와는 구별된다.

 

벨루티에서는 '그랑 메져'로 알려진 비스포크 수선공이 고객 한 명 한 명의 희망 사항과 요청 사항, 신체 특징과 개성, 의상의 용도 등을 고려해 개인 맞춤 사이즈와 디자인을 제공한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간편함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즘과 깔끔하고 세련된 룩을 선호하는 오피스코어(office+core) 트렌드가 부상하며 수트 소비가 늘고 있다"며 "수요가 늘어날수록 본인 취향에 맞춰 정장을 재해석해 입으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