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경기 부양책에 중국 ETF 상승세…개인 팔고 외국인 사고 '상반'

ChatGPT가 생성한 중국 ETF 이미지.

지난달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국내 상장된 중국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의 수익률이 일부 상품은 100%대까지 반등한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과 외국인 투자자들 간의 투자 양상이 엇갈리고 있다. 개인투자자들이 중국ETF 순매도세를 보이는 데 반해 외국인들은 순매수세를 지속하고 있다.

 

7일 코스콤 ETF체크에 따르면 최근 1개월 기준으로 중국 관련 ETF가 수익률 상위권에 대거 포진했다. 수익률 1위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차이나항셍테크레버리지(합성 H)로 131.21%를 기록했다. 이 상품은 중국 빅테크 30개 종목으로 구성된 항셍테크 지수를 2배 추종한다. 이어 TIGER 차이나전기차레버리지(합성)이 100%의 수익률을 보여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밖에도 TIGER차이나CSI300레버리지(합성)(99.21%), KOSEF 차이나A50커넥트레버리지MSCI(합성H)(91.04%), KODEX차이나심천ChiNext(합성)(90.61%), KODEX차이나H레버리지(H)(85.76%), TIGER 차이나항셍테크(56.71%), TIGER차이나전기차SOLACTIVE(46.10%) 등이 두 자리 숫자의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이같이 중국 관련 ETF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중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에 중국 증시가 급상승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대표 벤치마크 지수인 CSI300지수는 지난달 24일부터 중국 국경절 연휴 시작 직전인 30일까지 25%가량 뛰었다. 상하이종합지수도 21%가량 급등했다. 홍콩 항셍지수도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4일까지 25%가량 상승했다.

 

이처럼 중국 관련 ETF가 상승세를 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투자자들은 매도세를 지속하고 있다. 개인은 최근 한달간 TIGER차이나전기차SOLACTIVE와 TIGER 차이나항셍테크 등을 각각 715억원, 366억원어치 팔아치웠다. 또한 KODEX차이나H레버리지(H)(179억원), TIGER차이나CSI300레버리지(합성)(137억원) 등을 순매도했다.

 

이와 달리 외국인투자자들은 같은 기간 TIGER차이나전기차SOLACTIVE를 726억원 순매수해 가장 많이 담았고, 다음으로 TIGER 차이나항셍테크를 275억원어치 순매수했다. TIGER차이나CSI300레버리지(합성)(103억원), KODEX차이나항셍테크(88억원) 등도 사들였다.

 

증권가는 중국 정부의 증시 부양 의지로 인해 단기 수급과 투자심리가 개선되면서 중국 증시 반등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김경환 하나증권 연구원은 "단기 반등 모멘텀은 10월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단기적으로는 수급과 투자심리가 지배하고, 중기적으로 펀더멘털 확인 과정이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향후 중화권 증시가 10~15%대 상승 여력을 측정할 수 있지만, 단기 수급 과열과 변동성 확대를 열어두고 일부 조정 시 매집 전략을 추천한다"며 "국내 중국 관련주의 경우 중국 증시 단기 반등과 부양책이 실제 펀더멘털에 대한 확신으로 연결되려면 3~6개월 경기·가격 신호 등락과 함께 인내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국 인민은행(PBOC)은 지난달 말 시중 은행의 지급준비율(RRR·지준율)을 50bp 낮춰 장기 유동성 1조 위안(약 189조5000억원)을 공급했다. 정책금리인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도 인하했다. 이어 지난달 29일에는 장기 침체한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해 10월 말까지 시중은행들의 기존 부동산 대출금리를 일괄적으로 인하토록 권고했다. 또한 증시안정책도 발표됐다. 상장사들의 자사주 매입을 장려하기 위해 3000억위안 규모의 특별 재대출 제도가 시행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