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ETF 시장 성장세의 민낯...올해 상폐상품 35개·상폐주의 67개

올해 순자산규모 160조원을 돌파한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성장세에 비해 내실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산규모와 관리 상품 수가 늘어난 동시에 상장폐지 위기에 놓이는 '좀비 ETF'도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1일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상장폐지된 ETF 수는 35개로 지난해 14개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상장폐지된 ETF 수는 2020년 29개, 2021년 25개로 유지되다가 2022년에 6개로 잠시 줄었으나 지난해부터 다시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거래소는 상장 후 1년이 지난 ETF 중 반기 말 기준 순자산총액이 50억원 미만인 상품들을 관리종목으로 지정한다. 해당 ETF가 다음 반기 말에도 순자산총액 50억원 미만일 경우 상장폐지된다.

 

투자자들의 높은 선호를 받고 있는 ETF 시장은 올해 총자산이 160조원을 넘기는 등 규모가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경쟁 심화 등으로 신규 상품들이 쏟아지자 시장성이 떨어지는 ETF들도 다수 생기는 모습이다. 지난달 27일 기준 국내 상장된 ETF 893개의 순자산 규모는 160조8333억원으로 집계됐다. 운용되고 있는 ETF는 총 893개로, 지난해 말(812개)보다 81개 늘어났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기업 수가 846개사임을 고려했을 때, ETF 상품 수가 상장 기업 수보다 많아진 것이다. 각 연도말 기준 ETF 수는 2020년 468개, 2021년 533개, 2022년 666개, 2023년 812개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여왔다.

 

현재 상장폐지 전 단계인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ETF 수는 5개로 집계됐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200 산업재' 'TIGER 모멘텀' 'TIGER 방송통신'과 삼성자산운용의 'KODEX MSCI퀄리티' 'KODEX 최소변동성' 등이다. 이외에도 상장폐지 가능성이 엿보이는 이른바 '좀비 ETF'가 상당 수 존재한다. 지난달 27일 기준 순자산 50억원 미만 ETF는 67개로, 국내 상장된 ETF의 7.5%를 차지한다. 이 중 28개는 평균거래량(90일) 1000주를 넘기지 못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기존에 없던 유형의 상품이 출시되면 곧이어 유사한 상품들이 줄을 잇기 시작하고, 운용사 간 ETF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상품 수도 급증하고 있다"며 "각 운용사마다 관리하는 ETF 개수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지난달 26일 기준 주요 운용사 26개사가 각자 관리하고 있는 ETF 상품의 평균은 약 34.4개다. 가장 많은 수의 ETF를 관리하고 있는 운용사는 삼성자산운용(197개)이며 미래에셋자산운용(193개), KB자산운용(112개) 등이다.

 

김 의원은 "최근 ETF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내실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라며 "ETF 상장 심사 요건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품 구성을 통한 질적 성장도 도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