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ISA, 가입금액 30조원 돌파…"은행보다 증권사 찾아 이용"

출시 후 8년 5개월만에 기록
가입자 수, 564만6000명

/금융투자협회

국민 재산증식 지원을 위해 2016년 3월에 출시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의 전체 가입금액이 도입 8년5개월 만에 30조원을 돌파했다. ISA 취급 금융업권별 가입금액 기준으로 증권사가 은행을 7.8% 앞섰다.

 

금융투자협회는 8월 말 기준 ISA의 가입금액은 30조2722억원, 가입자 수는 564만6000명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ISA는 주식, 펀드, 예금 등 여러 업권의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 모아 투자하면서 세제혜택도 받을 수 있는 계좌형 상품이다. 이자와 배당소득, 국내 상장주식 이익과 손실 등을 합산해 일반형 기준 최대 200만원, 서민형 최대 400만원까지 비과세되고 이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9.9% 저율의 분리과세가 된다.

 

특히, 주식·ETF 투자에 대한 관심 증가와 올 초 정부의 ISA 세제혜택 확대 발표 등에 힘입어 올해 들어 가입금액은 약 6조8000억원, 가입자 수는 약 71만4000명이 증가했으며, 투자중개형 ISA가 도입된 2021년 2월 말(6조4000억원, 193만9000명) 대비 가입금액은 4.7배, 가입자 수는 2.9배 늘었다.

 

ISA 유형별로는 신탁형·일임형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위축되거나 감소했지만, 투자중개형은 많이 증가했다. 예금 중심의 '저수익 금융상품'에서 자본시장을 통한 '고수익 투자상품'으로의 전환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유형별 가입금액은 중개형은 2021년 2월 출시 이후 15조9400억원(총 가입금액의 52.7%)이 증가했고, 같은 해 2월 말 대비 신탁형과 일임형은 각각 6조8263억원(104.2%) 증가, 247억원(2.5%) 감소했다. 유형별 가입자 수로는 중개형은 2021년 출시 이후 469만1000명(총 가입자 수의 83.1%)이 가입했다. 같은 기간 신탁형과 일임형은 각각 93만6000명, 16만3000명 감소했다.

 

ISA 취급 금융업권별 가입금액 기준으로 증권사는 16조3000억원(53.9%), 은행은 14조원(46.1%)을 차지했다. 2024년 5월말 증권사가 은행을 앞지른 이후 그 차이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업권별 가입자 수 기준으로는 증권사는 473만4000명(83.9%), 은행은 91만2000명(16.1%)을 나타냈다. 2016년말 대비 은행 가입자 수는 절반 이상 감소했고, 증권사는 투자중개형 ISA 도입에 힘입어 약 23배로 증가했다.

 

ISA 가입자 연령대와 성별 기준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가입자가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중개형 도입 이후에 20대 가입자 비중이 2020년말 6.4%에서 2024년 8월말 17.0%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가입자 성별로는 20·30세대는 남성(남성 123만3000명, 여성 97만4000명)이, 50대 이상은 여성 가입자(여성 116만8000명, 남성 97만3000명)가 많았다. ISA 유형별로는 20·30세대는 중개형(중개형 43%, 일임형 27%, 신탁형 20%), 50대 이상은 신탁·일임형(신탁형 62%, 일임형 52%, 중개형 33%)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투자중개형 ISA의 대부분은 주식(39%)과 ETF(33%)로 운용되고 있다. 작년 조세특례제한법령 개정으로 운용 가능해진 채권이 예·적금 다음으로 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협회는 정부의 ISA 세제 혜택 확대 방침으로 ISA의 가입 규모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가 발표한 세법개정안에 따르면 비과세 한도가 일반형 기준 최대 500만원(서민형 최대 1000만원)까지 늘어난다. 납입한도 역시 연간 2000만원(총 1억원)에서 연간 4000만원(총 2억원)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국회에서도 ISA 활성화를 위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환태 금융투자협회 산업시장본부장은 "ISA 세제혜택 확대를 통한 국민들의 ISA 가입 증가는 우리 기업과 증시의 밸류업(Value-up)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