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metro관심종목] '바이오 황제주' 삼성바이오로직스, 미국發 호재 타고 '훨훨'

인천시 연수구 송도 11공구에 위치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제2바이오캠퍼스 부지에 건설 중인 삼성바이오로직스 5공장 건설 현장 전경/삼성바이오로직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경기둔화에 선제 대응하는 차원에서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을 단행했음에도 코스피는 2600선도 회복하지 못했다. 국내 증시가 아시아 주요국에 비해 지지부진한 중에도 바이오주는 상승세를 나타냈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긴 연휴 이후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0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일 대비 1만1000원(1.05%) 오른 106만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장중에는 106만3000원까지 오르며, 전일 기록한 105만원 52주 신고가를 바로 갈아치웠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1년 8월 17일 이후 3년 1개월 만에 '황제주' 지위를 회복했다. 동시에 코스피에는 2년 4개월 만에 황제주가 재등장하게 됐다.

 

이러한 상승세는 금리 인하 기조와 미국의 생물보안법 통과 영향을 크게 받은 덕분이다. 통상 제약·바이오주는 '저금리' 상황에서 유리한 종목으로 꼽힌다. 신약 개발에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기 때문에 금리가 자금 수혈에 중요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미국의 생물보안법이 통과되면서 반사이익을 볼 것이란 분석도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한 바이오주의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중국 기업과의 거래를 제한하는 것이 핵심인 생물보안법은, 미국이 자국의 바이오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 내 유전체 데이터의 해외 유출을 막겠단 취지로 제정됐다. 규제 대상은 글로벌 3위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인 중국 우시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해 우시앱택, BGI, MGI, 컴플리트 지노믹스 등 총 5개에 이른다.

 

김혜민 KB증권 연구원은 "생물보안법 입법에 따라 결국 비중국 바이오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들이 수혜를 볼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되는 생물보안법을 선제적으로 반영한다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주요 경쟁기업들과의 밸류에이션 차이는 더 빠르게 좁혀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몰려드는 고객사의 위탁생산(CMO) 수요에 대응해 지난 명절 연휴에도 쉬지 않고 전 공장을 24시간 가동했다. 아울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오는 2025년 4월 준공을 목표로 5공장 건설을 진행 중이며 해당 공장이 완공되면 78만4000ℓ 규모를 확보하게 된다. 장민환 아이엠증권 연구원은 "블록버스터 의약품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글로벌 CDMO 기업은 세계적으로 많지 않다"며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수혜를 예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