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베스트셀링 SUV' 볼보 XC60, 가격 유지·저공해차 혜택 확대…한국 소비자 눈높이 맞춰

볼보자동차 XC60 주행 모습.

올해 수입차 시장이 침체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볼보코리아의 스포츠유틸리티차(SUV) XC60의 증가세는 눈에 띈다.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와 3고(고금리·고물가·고환율) 영향으로 올해 수입차 시장은 저성장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한 때 연간 30만대 판매에 대한 핑크빛 전망도 나왔지만 시장 침체로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다.

 

18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해 수입차 시장은 총 16만9892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16% 급감했다. 반면 올해 수입 중형 SUV 판매 1위를 기록 중인 '베스트셀링 SUV)' 볼보 XC60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판매량을 기록하며 순항하고 있다. 볼보 XC60 판매량은 2023년 1~8월 3163대에서 올해 같은 기간 3944대 판매됐다.

 

이같은 성장세는 XC60의 가격 경쟁력과 상품성에 있다. XC60은 ▲독특하면서도 완성도 높은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상위 모델에 버금가는 인테리어 및 편의사양 ▲'안전의 대명사'다운 첨단 안전 기술 ▲업계 최고 수준의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등 모든 면에서 한국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는 완성도를 갖췄다.

 

특히 이번 2025년형 XC60은 파워트레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연비를 소폭 개선하고 저공해 2종 인증까지 획득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T8) 트림뿐 아니라 마일드 하이브리드(B5, B6) 트림 역시 ▲전국 공영주차장 50% 할인 ▲전국 공항 주차장 50% 할인 ▲서울시 혼잡 통행료 100% 감면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여기에 '안전의 대명사' 볼보답게 온 가족을 안심하고 태울 수 있는 패밀리카로 성장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도 인기 요인이다. 볼보는 1970년부터 별도의 교통사고 조사팀을 꾸린 이후 지금까지 7만2000명 이상의 탑승자와 4만3000건 이상의 사고를 기록하고 연구했다. 이를 바탕으로 볼보는 다양한 테스트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볼보자동차 XC60 인테리어.

국내 소비자를 위해 업계 최고 수준의 편의성을 갖춘 통합형 티맵 인포테인언트도 매력 포인트다.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지난 2021년 XC60을 통해 업계 최초로 '통합형 티맵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선보인 바 있다.

 

'통합형 티맵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2.0'은 96%에 달하는 높은 음성 인식률을 기반으로 운전 중에도 내비게이션, 오디오, 공조 등 차량의 각종 기능을 매끄럽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자체 개발한 '티맵 스토어'를 통해 웹 브라우저와 뉴스 앱, 팟캐스트, 오디오북, 증권 서비스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차 안에서 간편하게 충전 및 결제를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는 인카페이 서비스도 제공한다. 여기에 15년 무상 무선 업데이트(OTA) 및 LTE 5년 무상 지원, 디지털 서비스 패키지 5년 이용권을 기본 제공해 탑승자에게 '스마트 카'의 경험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025년형 XC60의 가격은 ▲B5 플러스 브라이트(6440만원) ▲B5 울트라 브라이트 (7000만원) ▲B6 울트라 브라이트(7400만원) ▲T8 울트라 브라이트(8640만원)으로, 일부 옵션이 추가된 B5 플러스 브라이트를 제외한 모든 트림이 2024년형과 동일한 가격으로 책정됐다.

 

볼보자동차 XC60 인테리어.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